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Analysis Among Each Site Scale Evaluation Against Outdoor Space of Multi-Family Housing Complex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대한 단지규모별 비교평가 분석

  • Received : 2008.10.06
  • Accepted : 2008.11.19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preference on the outdoor space's design by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So we divide outdoor space into space for green l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space for walking and space for rest and landscape facil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follows :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is the bigger, it is recognized by same ratio on specific outdoor space in housing complex that are space for green l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space for rest and landscape facilities. And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play is found commonly into the poorest space in housing complex. Evaluation for resident's perception on outdoor space by multifamily housing complex scale shows that housing complex scale is the bigger, resident's satisfaction is the lower. That means that housing complex of large scale can't satisfy the diverse resident's demand.

본 연구는 옥외공간 설계변화에 대해 거주민들은 옥외공간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고자 옥외공간을 녹지공간, 놀이 및 운동 관련 공간, 보행공간, 휴식 및 조경시설 공간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각각의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단지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단지내 특색있는 공간이 어딘지에 대한 질문에 단지의 규모가 클수록 녹지공간과 운동 및 놀이공간, 휴식 및 조경시설공간이 비슷한 비율로 응답된 반면, 모든 단지의 응답자들은 단지내 가장 부족한 공간으로 운동 및 놀이공간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규모에 따른 아파트 단지의 옥외공간에 대한 세부공간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대단지일수록 옥외공간 설계시 좀 더 많은 설계 항목이 도입되고 운동 및 놀이공간 및 휴게공간 등에 대한 강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 달리 주민들의 평가는 이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지규모가 클수록 옥외공간에 대한 이용객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화되는데 비해 단지설계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1999) 아파트 단지 옥외공간 차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시장세분화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김석종(2000) 아파트단지 조경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 대한주택공사(1997) 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설계특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4. 박인숙, 김영하(2008) 공동주택 단지 내 외부공간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재건축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6호, pp. 285-292.
  5. 서정렬, 이우종(1997) 주거수요 패턴의 다양화에 따른 도시근교의 주거단지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5권 제2호, pp. 35-69.
  6. 이규인, 이재준, 황경희(1994) 주거단지 공동체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계획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7. 이병룡, 김몽룡, 이선희, 이강, 오승규(1996), 지역별 공동주택의 차별화 아이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2권 제10호, pp. 67-74.
  8. 이원대(2000) 공동주택단지내 옥외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단지내 녹지시설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9. 이재용(2000) 아파트 옥외환경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0. 이재준(1998)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평가와 계획적 함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이현택, 이철희(1990) 도시 고층아파트단지 주거지의 외부 공간 이용행태 및 만족요인 분석, 대한조경학회지, 대한조경학회, 제18권 제2호, pp. 79-93.
  12. 조성학(2008) 공동주택단지 디자인가이드라인이 갖고 있는 계획적 함의에 대한 고찰-한국과 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6호, pp. 311-318.
  13. 최열, 임하경(2005) 초고층 아파트 공동공간의 범죄불안감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7호, pp. 57-63.
  14. 최열, 임하경(2006)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물에 관한 시민과 광고주간 인식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3호, pp. 135-143.
  15. 최열, 공윤경(2007) 공돋주택단지 설계요소 및 거주자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5호, pp. 83-90.
  16. 최일홍, 배중남, 이규목(1998) 아파트 옥외공간 특성화에 대한 거주자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조경학회지, 대한조경학회, 제26권 제3호, pp. 249-257.
  17. Song, Y. and Knaap, G.J. (2003) New urbanism and housing values:a disaggregate assessment, Journal of Urban Economics,Vol. 54, pp. 218-238. https://doi.org/10.1016/S0094-1190(03)00059-7
  18. Turner, M.A. (2005) Landscape preferences and patterns of residential development,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57, pp.19-54. https://doi.org/10.1016/j.jue.2004.08.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