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s Considering an Increasing Trend in Rainfall Data

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목표년도 확률강우량 산정

  • 권영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진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태웅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전공)
  • Received : 2008.09.22
  • Accepted : 2008.12.23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Recently frequent occurrences of heavy rainfall and increases of rainfall intensity resulted in severe flood damage in Korea. In order to mitigate the vulnerability of flood, it is necessary to estimate proper design rainfalls considering the increasing trend of extreme rainfalls for hydrologic planning and design. This study focused the estimation of design rainfalls in a design target year. Tests of trend indicated that there are 7 sites showing increasing trends among 56 sites which have hourly data more than 30 year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of annual maximum rainfalls and parameters of the Gumbel distribu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this study estimate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design rainfalls in a design target year, and then constructed the rainfall-frequency curve. The proposed method estimated the design rainfalls 6-20% higher than those from the stationar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최근 우리나라에서 집중 호우의 발생이 잦아지고 강우 강도가 증가하면서 강우로 인한 극심한 홍수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홍수피해의 경감을 위해서 수공구조물의 계획 및 설계에서 강우의 증가경향을 반영한 목표년도 확률강우량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0년 이상 자료보유기간을 가진 기상청 관할 56개 강우관측소의 강우자료를 분석하여 증가 경향성이 존재하는 7개 지점의 설계목표년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Gumbel 분포를 이용하여 연 최대 강우량 평균과 위치 매개변수, 축척 매개변수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목표년도에 적용가능한 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하고,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산정된 목표년도 확률강우량은 자료의 정상성을 가정한 확률강우량에 비해 6-20% 정도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 1권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건설교통부.
  2. 건설교통부(2005) 삽교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건설교통부.
  3. 김병식, 김보경, 경민수, 김형수(2008) 기후변화가 극한강우와 I-D-F 분석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4호, pp. 379-39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4.379
  4. 소방방재청(2007) 재해연보 2006, 소방방재청.
  5. 안재현, 김태웅, 유철상, 윤용남(2000)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 569-580.
  6. 임은순, 권원태, 배덕효(2006) 수자원 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2호, pp. 1043-105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2.1043
  7. 정종호, 윤용남(2007) 수자원설계실무, 구미서관.
  8. 한만신, 최계운, 정연중, 안경수(2006) 최대강우 패턴 변화를 고려한 인천지방 확률강우강도식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6호, pp. 521-1532. https://doi.org/10.3741/JKWRA.2006.39.6.521
  9. He, Y., Brdossy, A., and Brommundt, J. (2006) Non-stationary flood frequency analysis in southern germany,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Philadelphia.
  10. Leclerc, M. and Ouarda, T.B.M.J. (2007) Non-stationary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at ungauged site. Journal of Hydrology, Vol. 343, Issues 3-4, pp. 254-265. https://doi.org/10.1016/j.jhydrol.2007.06.021
  11. Ouarda, T.B.M.J. and El Adlouni, S. (2008) Bayesian inference of non-stationary flood frequency models.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08, Honolulu, Hawaii.
  12. Stedinger, J.R., Vogel, R.M., and Foufoula-Georgiou, E. (1993).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events, Handbook of Hydrology, D. Maidment, ed., McGraw-Hill, New York, pp. 18.1-1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