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of Distal Biceps Rupture

이두박근 원위부 파열의 임상적 치료 결과

  • Chung, Duke-Wh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Jung-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Osan Hankook Hospital)
  • 정덕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정철 (오산 한국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of patients treated for a rupture of the distal tendon of biceps brachii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87 and March 2004, we treated 16 patients with a rupture of the distal tendon of biceps brachii. 9 of 16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All cases were male, median age was 26.3(range, 16-48) years. The mean interval between injury and surgery was 4.7 days (range, 1~36 days). Operative correction was performed anatomically, using the two-incision technique(3 cases) or one-incision technique(6 cases).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one year after operation by assessing the review about the physical examination finding and radiologic findings with surgical findings,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subjective satisfaction, activity and return to previous occupation. and via telephone interview in cases of conservative treatment. Results: In cases of surgical treatment, 85.8%, 86.3% of flexion-extension and supination-pronation motion than healthy side were measured respectively. 75% of flexion power than healthy side was measured. Eight of nine(89%) were very satisfied. Eightl of nine returned to original job. In cases of conservative treatment, 65% of flexion power than pre-injury state was reported. Four of seven were satisfied, two were dissatisfied, one was very dissatisfied. Three of seven returned to original job. Conclusion: Early anatomic reconstruction can restore more strength and endurance for supination and flexion range and power. Conservative management may be considered for partial injuries, but operative repair must be considered in complete rupture, athletes, patient with high activity.

목적: 원위부 이두박근 파열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이두박근 원위부 파열로 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3.9세였다. 9례(56%)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기는 수상 후 평균 4.7일이었다. 수술은 모두 파열된 원위부 이두박근을 해부학적으로 복원해주었다. 평가는 술 후 1년째에,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던 환자는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이두박근 근력, 환자의 만족도, 직업의 복귀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던 9례에서는 주관절의 굴곡-신전 운동범위와 회외-회내전 운동 범위는 각각 건측의 85.8%, 86.3%를 보였고, 이두박근 근력은 건측의 75%로 측정되었다. 주관적인 만족도는 8례에서 매우 만족, 1례에서 매우 불만족의 결과를 보였으며, 9례 중 8례는 예전의 직업으로 복귀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던 예에서는 이두박근 근력은 수상 전 근력의 65%를 보였고,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는 4례에서 만족, 2례에서 불만족, 1례에서 매우 불만족의 결과를 보였다. 7례 중 3례에서만 기존의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결론: 조기 해부학적 복원술은 이두박근의 근력과 주관절의 굴곡, 회외전 범위를 최대한 회복 시 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젊고 활동력이 높은 환자에서는 가급적 보존적 치료 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만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