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 Kang, Kyung-Hee (Jeju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 강경희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implications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by analyzing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student-teacher practice. Fifty-six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ecdotes about their student-teacher practic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veal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most difficulties relating to instruction teaching. They answered that they had especially comprehended inducing interest in diffcult learners, attention, appropriate composition of questions, and learners' understanding levels.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wed that they had tried to control students in experiment instruction. Also, they demonstrated that time for guidance counseling had been insufficien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content and level of counseling. Therefore, we need to improve teachers' college curriculum by performing student-teacher practice and feedback. We especially need to systematize teachers' college curriculum on the basis of developing standards of science teachers'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56명의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 동안의 일화에 대해 기록하도록 요구받았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은 수업지도와 관련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흥미 유발과 주의 집중, 적절한 발문 구성,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 등이 특히 어려웠던 것으로 응답했다. 실험 지도와 관련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해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관련해 상담 시간이 부족했고 상담 내용이나 수준이 불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의 이행 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 전문성 계발 기준에 기초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이선경 (2004). 교육실습에서 교실수업에 대한 과학교육전공 학생들의 고려사항.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105-131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 (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김옥선 (2004).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내러티브적 분석. 초등교육학연구, 1(2), 1-19
  4.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2004). 과학교육학개론. 서울: 북스힐
  5. 박미현 (2004). 과학 교사의 전공과 비전공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수업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상완 (2002). 교원 교육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교원교육의 체제. 한국교원교육연구, 19(3), 31-54
  7. 박수경, 김영환, 김상달 (1996). 동기유발을 위한 ARCS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지구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29-440
  8. 박완희 (1999). 개정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경성대학교 출판부
  9.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과학교사의 교수내용 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10.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1. 송진웅, 권성기, 김인환, 윤성규, 임청환 (2003).과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 서울: 시그마프레스
  12. 윤혜경, 심재규, 박승재 (1997).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89-299
  13. 윤혜경 (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14. 이혁규, 심영택, 이경화 (2003). 초등 예비교사의 실습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6(1), 141-196
  15. 임성민, 박승재 (2000). 중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491-504
  16. 장정은, 김성원 (2009). 여성 예비과학교사에 대한 교직 수행 능력 검사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43-53
  17. 전화영, 유미현, 홍훈기, 박은이 (2009).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 불안 실태 및 전문성 발달 노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68-78
  18. 정봉도, 안병집 (1994). 교육실습. 대구대학교 출판부
  19.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에 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20. Bell, B., & Gilbert, J. (1996). Teacher development : A model from science education. Falmer Press
  21. Mattingly, C. (1991). Narrative reflections on practical actions : Two learning experimental in reflective story telling. Teachers College Press
  22. Zeichner, K. M. (1981). Reflective teaching and field-based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Inter Change, 12(4), 1-22 https://doi.org/10.1007/BF01807805
  23. Zeichner, K. M., & Liston, D. P. (1987).Teaching student teacher to reflect. Harvard Educational Research, 5, 23-48
  24. Wallace, J., & Loudon, W. (2002). Dilemmas of science teaching. Routledge Fal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