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dividual achievement index of foreign language ability

외국어능력 개별성취도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Chang, Duk-Joon (Department of Statistic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eo, Sun-Yeong (Department of Statistic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wo types of indices to evaluate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of foreign language abilities between two time points. One, named uniform achievement index, is defined as the ratio of additional score between two time points to the total score range of a test. The second one, named relative achievement index, is defined as the ratio of additional scores between two time points to the remaining score at the base time point to the full score if the score is improved during the given period of time, and if not,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amount of losing scores to the difference of the score at the base time point from the least score of the test. Two indices are both having values between -1 to 1, and easy to interpret. Also, they are eligible to compare scores from different tests at the same time. However, relative achievement index will be more useful to compare student having different base scores because it is consider each student's test score at the base time.

일정기간동안 성취한 개인의 외국어능력 개별성취도지수로 균일성취도지수와 상대성취도지수를 제안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두 지수 모두 -1 ${\sim}$1의값을 가지며 해석이 용이하다. 또한 최고와 최저 점수가 서로 다른 시험의 성취도를 동시에 비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태성취도지수는 각 사람의 초기 평가시점의 점수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균일성취도지수보다 합리적인 평가지수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각 학생의 현재 능력을 고려하여 성취도를 측정 비교할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외국어능력시험결과를 동시에 비교할 유용한 지표를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우 역 (2002). <8급 예감 중국한어수평고시 모의고사 1>, 다락원, 경기.
  2. 김창민, 이경란 (2000). <아카데미 텝스>, 아카데미문화사, 서울.
  3. 김혜숙 (2003). <웹에서의 학습 성취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4. 박노진 (2009). 중요도-실행도 분석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연구- 온라인 수능강의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329-338.
  5. 소옥형 (2005). <절대고수 고등 중국한어수평고시>, 동양문고, 서울.
  6. 신영수, 황호문, 고현아, 신동선, 최윤정 (2008). , 학문사, 서울.
  7. 조윤식 (2009). 곱모형에 의한 외식업 서비스품질 5차원이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273-282.
  8. 하정, 김양희, 황도연, 정혜윤, 김은덕 (2009).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6, 47-65.
  9. 한국통계학회 편 (1987). <통계용어사전>, 자유아카데미, 서울.
  10. 허순영, 장덕준 (2009). <외국어능력 상대성취도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투고 중.
  11. LORI (2008). , 다락원, 경기도.
  12. YBM 일본어연구회 (2003). <한 권으로 끝내는 JPT 990>, YBM Si-sa, 서울.
  13. Fisher, I. (1927). The making of index numbers, Houghton Mifflin Company.
  14. Vogt, A. and Barta, J. (1997). The making of tests for index numbers, Physica-Verlag, Heidelbe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