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 최길수 (충북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용대 (충북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종연 (충북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발행 : 2009.10.31

초록

2005년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은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다. 이에 사이버가정학습이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성 및 만족도를 평가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사이버가정학습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둘째,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저소득층 학생들의 만족도와 효과성,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셋째, 성별, 소속지역, 소속학급, 학급구성방식 등 배경요인별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저소득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러닝 효과성과 만족도를 측정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사이버가정학습이 교육기회 균등 및 교육격차 해소라는 본래의 목적을 살리고 보다 나은 교육서비스가 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2005, Cyber home learning systems(CHLS) have been run with the purpose of clearing up the regional disparity and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cos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valuation model for satisfaction and pedagogical effectiveness of CHLS an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Our major contribu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present an evaluation model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Second, we survey th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wareness and improvement facts from the students who divided according to their sex, residence area and classes and compare with suggesting evaluation models. This paper is to find the measurement of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wareness of the CHLS for the low-income bracket children. Furthermore, we can use this model as a material to balance the educa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purpose of CHLS, and abolish the education differentia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형주 외. "교육정보화 평가 모형 개발 연구-성과중심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2. 대구광역시교육청. "사이버가정학습 시범 운영보고서 : 수준별 맞춤식 온라인 학습 대구 e-스터디 구축.운영", 2004.
  3. 권성호. "2005년도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2006.
  4. 송태옥. "상호작용적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8권 제1호, 2005.
  5. 신봉호 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의 참여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아동교육 제16권 제4호, pp.119-129, 2007.
  6. 조규락.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 식 분석:경상북도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3호, pp.159-188, 2007.
  7. 박성희 외.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3호 pp.59-87, 2007.
  8. 강숙희.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9권 제4호, pp.209- 228, 2003.
  9. 박용순. 빈곤과 자립. 서울: 학지사, 2001
  10.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20권 제2호, 1998.
  11. 조희숙,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자기 효능 감 및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12. 엄명용,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5권 제1호, pp.51-80, 2006.
  13. 장은정 외 2인, "원격대학 성과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 권 제2호, pp.67-104, 2007.
  14. Namin Shin, Jason K.Y. Cha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nline learning on distance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35. No.3. 2004. https://doi.org/10.1111/j.0007-1013.2004.00389.x
  15. Ching-Chun Shih. "Relationship among strategies, patterns, styles, and achievement in Web-based cours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Vol.43. No.4. 2002.
  16. Cathy Cavanaugh et al. The effects of distance education on K-12 student outcomes : A meta-analysis with recommendations for policy. 2005.
  17. Bloom, B, S. et. al,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 David Mckay. 1956.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riterion for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Contents vol.17A, pp.6, 2010, https://doi.org/10.3745/KIPSTA.2010.17A.6.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