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하이브리드 방식에 의한 경제.인문.사회 분야 표준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n Hybrid Approach to Improve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Domains of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 ;
  • 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발행 : 2009.09.29

초록

분류체계의 역할은 유사한 주제의 정보객체가 함께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분류체계의 사용은 궁극적으로 효율적인 정보관리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경제 인문 사회 계열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관장하는 경제 인문사회연구회는 개별 연구기관에서 생산하는 연구성과물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평가하기 위해 해당 분야의 표준분류체계의 도입을 시도하였고, 2008년 정부기능연계모델(BRM)과 분류담당자와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표준분류체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표준분류체계는 연구성과물을 조직의 기능별로 분류할 수 있어 효율적인 반면 주제별로 분류하는데 있어서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표준분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이 통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하였다. 정부기능연계모델과 이용자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표준분류체계, 전통적인 표준분류체계인 KDC와 연구성과물에서 추출한 키워드의 군집화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표준분류체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제안된 표준분류체계 개선안은 연구성과물을 체계적으로 관리 운영하는데 있어서 핵심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궁극적으로 연구성과물의 표준분류체계를 근간으로 한 연구과제 관리시스템에 적용되어 효율적으로 연구 및 과제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ultimate goal of classification systems is to provide tool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s through collocation of information objects in similar topics.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NRCS) aims to organize the research products from 23 research institutes. To manage and organize the research products effectivel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of users' survey and the Business Reference Model(BRM). Although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s of users' perspectives and the aspects of organizational functions, there are limits to apply the system into classification practices. In this study, the proposed hybrid approach is to combine a clustering approach with 1,884 keywords from the titles of research products between 2007 and 2008. The clustering approach is performed in a heuristic way according to the KDC due to the lack of digital full texts of research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a revise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for NRCS with 16 headings and 90 sub-headings. The revise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research products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기원, 김비연. 2006. 지적학의 학문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9-57. https://doi.org/10.4275/KSLIS.2006.40.1.039
  2. 김기환, 정윤수, 권헌영, 이삼열, 고윤석, 윤영진. 2008. BRM분류체계를 활용한 연구성과물 표준분류 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7-70.
  3. 김명옥. 2007. 기독교 분야 웹문서 분류체계 설계를 위한 비교 분석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27-144. https://doi.org/10.4275/KSLIS.2007.41.3.127
  4. 김정현, 문지현. 2002. 농학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393-413.
  5. 김정현, 배주연. 2005. KDC 광고분야의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5-22.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005
  6. 김형년. 2004. 일반 포털 사이트에서의 디자인 관련 디텍토리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인포디자인이슈, 6: 95-106.
  7. 손소현, 홍기채, 정현수. 2000. 지식분류체계의 변화와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15(6): 190-197.
  8. 유보현, 김태균, 홍석기. 2000. 디자인 DB(Database)에 있어서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3(1): 67-74.
  9. 이명희. 1999. Web 데이터베이스의 디렉토리 설계를 위한 분류체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0: 243-268.
  10. 장호수. 2004. 문화재 분류체계 시론. 인문콘텐츠, 4: 78-101.
  11. 정도범, 임춘성, 김동민. 2005. 사용자 관점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482-488.
  12. 정해성. 2003. 문학류를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2): 273-296.
  13. 조용래, 김원준. 2009. 문화기술(CT) 분류체계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기술분류체계 및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7): 18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