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전방 십자 인대의 일차 봉합술 후 MRI 소견

  • Kim, Jung-M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oh, In-J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Dong-Yeob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Lee, Yoon-M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김정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고인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동엽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윤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of arthroscopic ACL primary repair with sutures pull-out technique were followed for 21.4 months (range: 12 to 60 months). Stability was assessed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KT-1000 arthrometer (MED metric, San Diego, CA) and postoperative MRI checked with tim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ear which was defined with the location of remained synovial sleeve. Group I (11 patients) comprised that the tear was located within proximal 1/3 of ACL substance and group II (6 patients) comprised below proximal 1/3.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CL were evaluated by its course, sharpness,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using 3 grade system and correlated with its location of tear. Results: In all cases, Lachman test and flexion-rotation drawer test were negative, pivot-shift test was less than grade 1 and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by use of KT-1000 arthrometer was 1.4 mm (range: -1.0 to 2.5 mm). The overall continuity of the repaired ACL was well maintained in all cases. However, mild sagging was observed in 10 cases(58.8%), mild obscure contour in 6 cases (35.3%), increased thickness in 8 cases (47.1%) and slight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5 cases (29.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parameters between 2 groups. And a focal defect at the femoral attachment site in sagittal image was observed in 7 cases (41.2%) of all patients which comprised 2 cases (18.2%) of group I and 5 cases (83.3%) of group II. It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group II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5). Conclusion: Some abnormal MRI findings such as mild sagged course, obscure contour, increased thickness and signal intensity, the focal defect at femoral attachment site could be observed even though the stability was well maintained clinically. We thought that the focal defect was affected by the location of tear of ACL.

목적: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 후 전방 십자인대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사 견인 결찰(pull-out) 기법으로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4개월(범위: 12~60개월)이었다. 외래 방문시 신체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MEDmetric, San Diego, CA) 측기로 안정성을 검사하였으며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으로 추적하였다. 남아 있는 활막 소매(synovial sleeve)의 위치로 정의한 파열부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 1군은 파열이 대퇴골 부착 부위부터 근위 1/3 실질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군은 파열이 근위 1/3 실질부 보다 원위에 위치하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소견을 일정한 주기로 촬영하였으며 봉합된 십자인대의 주행 경로, 경계의 명확성, 두께 및 신호 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Lachman검사와 flexion-rotation draw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Pivot-shift 검사는 1도 이하였으며 건측과 환측의 KT-1000 arthrometer 차이는 평균 1.4 mm(범위: -1.0~2.5 mm)로 측정되었다. 파열부 위치에 따른 분류로 제1군은 11예, 제 2군은 6예가 해당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모든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전반적인 연속성은 유지되고 있었으나 10예(58.8%)에서 경도의 처진 주행 경로를 보였고 6예(35.3%)에서 경도의 불명확한 경계를 보였으며 8예(47.1%)에서 두께의 증가, 5예(29.4%)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상면상 제1군의 2예(18.2%), 제 2군의 5예(83.3%), 전체 환자의 7예(41.2%)에서 대퇴골 부착 부위의 후방 변연부 실질부의 국소 결핍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35). 결론: 일차 봉합술 후 임상적으로 불안정이 없는 슬관절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으로 주행 경로의 처짐, 경계의 불명확, 두께 및 신호 강도의 증가, 대퇴 부착 지점의 국소 결핍 등의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대퇴 부착부의 국소결핍 소견은 파열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