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Korean Poem since the year of 2000. - Focusing on the Symbol of the Body -

이천년 이후 한국 시문학의 고찰 - ‘몸’ 기호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000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to contemplate the stream of Korean poemliterature after the year of 2000. For this, we have studied how a desireof a subject can be neglected and suppressed or further, free through asymbolic function of the body.Poems of Kim Kitaek show phasis of suppressions, which a symbolicsystem makes by closing a pathway of the body where a desire beingcreated.In the poems of Yoo Hongjun, a 'Symbolic farther', a power man, isruling his family and this is being carried over to his next generationand suppresses all the individual's subjective desires.Poems of Hwang Byungsung illustrate that it denies a symbolsystem, a world of language, but intends to discharge it's unconsciousdesires. And Kim Minjung's poem depicts that all the realities whichthe narrator remembers are negative and violent. However, it reduces apoetic tension since the contents are described in sequence and directly.All those poems supply us a poetic pleasures while they don't presentany depth of consciousness.In poems of Moon Taekjun and Son Taeksoo, the subjects arereturning to their parents, recovering identities and try to find the valueof beings.Baek Moosan and Ha Jongo are showing their interests in neglectedclasses like labours or immigrants and present their suppressed desires.Immigrants are becoming subjects helping Korean society to be aMulti-cultural society, and many poems reflecting those features arebeing announced now. And Song Chanho, through his poems, illustrates how we can cure the wounds from violences and go to the new culturalway.As studied on above, poets are feeling a stream of the times,breathing together and demonstrate a desire to find something newthrough their own symbolic systems.

이 연구는 이천년 이후 최근 한국 시문학의 흐름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몸의 기호작용을 통하여 주체의 욕망이 어떻게 소외되고 억압되며 나아가 해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김기택의 시에서 상징계는 욕망이 현현되는 몸의 통로를 차단하여 억압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유홍준의 시에서는 권력자인 ‘상징적 아버지’가 모든 가족들을 지배하며, 이는 다시 대물림되어 모든 개인의 주체적 욕망을 억압한다. 황병승의 시에는 언어의 세계인 상징계를 거부하고 무의식적 욕망을 배설하겠다는 의도가 암시적으로 보인다. 그리고 김민정의 시 속 화자가 기억하는 현실은 모두 부정적이고 폭력적인 것으로 그려지며, 그 내용들이 순차적이고 직설적으로 서술되어 시적 긴장감을 떨어뜨린다. 이들의 시는 시적 재미를 주는 반면에 의식의 깊이를 보여 주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태준과 손택수의 시에서는 주체가 부모로 돌아가 그들을 거울로 하여 주체의 동일성을 회복하고 존재의 가치를 찾으려 한다. 백무산과 하종오 시인은 노동자 또는 입국자들 등과 같은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억압된 욕망을 보여준다. 입국자들은 한국사회를 다문화 사회로 만드는 주역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시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리고 송찬호 시인은 문명의 폭력으로부터 입은 상처를 치유하며 새로운 문화의 길로 어떻게 갈 수 있는가를 암시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것처럼 시인들은 몸으로써 시대의 흐름을 감지하고 함께 호흡하며 끊임없이 새로움을 찾으려는 욕망을 독자적인 시적 기호체계를 구축하여 보여 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