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Probability Unit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8-B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정보 분석 및 활용 측면에서의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 분석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thesis assumes that the teaching objective of the Probability unit of the 8th grade textbook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to enhance the ability to analyze and utilize informations. And we examine them if this point of view is fully ref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analysis, followings are found. 1)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more enumerating all possible cases and to induce formulae counting the number of possible cases through organizing them 2) The probability is to be decribed more clearly as a likelihood of events and to be introduced and followed through various students' experiences and the relative frequencies. Less emphasis on probability computations, while more emphasis on probability comparisons of events are recommended. 3) The term "influential events"(a kind of stochastic correlation) is ambiguous.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what it means at tile level of the 8th grade or to discard it for it is to be learned at the 10th grade again. Especially, contingency table has been introduced at the 9th grade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4) Uses of the likelihood principle in making a decision and in learning the reliability of it should be encouraged. And students are to team the hazard of transitive inferences in probability comparisons. As a consequence of above, we feel that textbook authors and related stakeholder are to be more serious about the behavioral changes of students that may come along with the didactics of specific contents of school mathematics.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 중 중학교 2학년 확률 단원의 지도 목표를 정보 분석 및 활용 능력의 신장이라 가정하고, 교과서 구성에 이러한 관점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능한 모든 경우를 나열해 보는 것을 강조하고, 조직적으로 나열해 보는 경험을 통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공식을 도출해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건의 발생 빈도인 상대도수를 통하여 경험 중심으로 확률 개념을 지도하면서, 다양한 분포자료로부터 확률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고등학교 과정보다 조금 더 직관적인 예를 이용하여 영향을 주는 사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능성의 원리를 인식하여 가능성의 크기를 생각할 수 있도록 하고, 확률의 비추이성을 지도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다섯째, 학생들이 확률 단원을 학습함으로써 어떠한 행동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목표를 좀 더 부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