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Region

경북지역 고등학생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 및 행동 분석

  • Kim, Eun-Ju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Mee-Ra (Dept. of Food Science & Nutrition, Center for Beautiful Ag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o-Chung (School of Human Counseling & Welfare, Inje University)
  • 김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미라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수생활과학연구소) ;
  • 김효정 (인제대학교 생활상담복지학부)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assessed the level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safe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97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regio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closed-end questions regarding each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nd grade, recognition on food safety, concern about hazardous elements towards foods and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saf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th level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safety were not particularly high.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food safety were mother's age and concern about hazardous elements towards foods. Grade, father's educational level, concern about hazardous elements towards foods, a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food safety influenced the level of behavior about food safety.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grade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directly affected the level of behavior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concern about hazardous elements towards food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behavior about food safety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food safety had an direct influence on the level of behavior about food safety.

본 연구는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북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 및 행동 수준을 살펴보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며 경로모형을 통해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과 행동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북지역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총 297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alpha,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 정답률은 평균이 63.1%이었으며,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답률을 살펴본 결과 '식품의 구입 및 취급', '식품의 보관 및 저장', '식중독 및 식품오염'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연령,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하였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44점이었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61.1점으로 지식 수준의 평균보다 조금 낮았다. 영역별 행동 점수를 살펴보면 '식품의 보관', '식품의 섭취', '식품의 구입 및 취급' 순으로 평균값이 높았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 아버지 교육 수준,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관심도,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한 결과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에는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에는 학년(2학년), 학년(3학년), 아버지 교육 수준,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관심도,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학년과 아버지 교육 수준은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식품 안전성에 대한 지식은 독립적으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행동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