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 조영란 (부산대학교 가정교육) ;
  • 김희화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공유경 (부산대학교 아동가족주거학과)
  • Jo, Young-Ra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ajor, Pusan National Univ.) ;
  • Kim, Hee-Haw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Pusan National Univ.) ;
  • Kong, You-Kyo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 Housing, Pusan National Univ.)
  • 발행 : 2009.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dividual variables consisted of teac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warm-hearted attitude. Interpersonal variables consisted of intimacy with colleagues,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parental partnerships. Subjects we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ith respect to teachers' age,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marriage status, experience of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warm-hearted attitude, intimacy with colleagues, and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shown in the teachers who were older, highly experienced, or in higher positions. In addition, teachers who were married, had completed a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had a higher warm-hearted attitude, had a intimacy with colleagues, or had a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were found to have hig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s results of examining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the influential variables are teaching experience, warm-hearted attitude,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position in that orde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라(2005)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인숙(2008) 교사용 유아 문제행동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곽혜숙(2000)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혜영(2006) 유치원의 조직풍토,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순(2005)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상관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주(2003)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진희(2006) 직장보육시설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정(2002) 유치원의 조직풍토,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명준희(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보건복지가족부(2007) 2007년 12월말 기준 보육통계.
  11. 서지연(2004)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은수(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13. 여은진(2004)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환경 및 교수만족도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원영미(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유효순.이원영(2006) 부모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 대학교 출판부. 31-35.
  16. 이경숙.신의진.신동주.전연진.박진아(2003) 한국판 영유아 행동문제 평가척도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75-191.
  17. 이경숙.신의진.전연진.박진아(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53-73.
  18. 이금란(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분려(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 만족 및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소현.박은혜(2009)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486.
  21. 임우정(2005)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 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임창재(2005)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410.
  23. 전선옥(1989) 유치원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명주(2003)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요인간의 관계: 일과계획, 상호작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정희(2001)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26. 조부경.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27. 최동선(1996)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건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Ashton PT(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2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0. Benz CR, Alderman LB, Flowers M(1992) Personal teaching efficacy: Developmental relationship 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5(5), 274-285. https://doi.org/10.1080/00220671.1992.9941127
  31. Coughlan RJ, Cooke RA(1974) Work attitudes. In Walberg HJ(Ed), Evaluating educational performance: A source of methods, instruments and examples. Berkeley, CA: McCutchan.
  32. Emond A, Ormel J, Veenstra R, Oldehinkel AJ(2007) Preschool behavioral and social-cognitive problems as predictor of adolescent disruptive behavior.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38(3), 221-236. https://doi.org/10.1007/s10578-007-0058-5
  33. Gibson S, Dembo MH(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4), 569-582.
  34. Kamphaus RW, Reynolds CR(1992) BASC: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manual.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35. Khaleque A, Rohner RP(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an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ra cultural stud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54-64.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054.x
  36. Knobloch NA, Whittington MS(2002)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support, teacher preparation quality, and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al Research 27(3), 331-341. https://doi.org/10.5328/JVER27.3.331
  37. Kontos S, Wilcox-Herzog, A(1997)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Young Children 52(2), 4-12.
  38. Patterson GR, Capaldi D, Bank L(1989) An early starter model for predicting delinquency. In Pepler DJ, Rubin KH(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Hillsdale, NJ: Erlbaum.
  39. Qi CH, Kaiser AP(2003) Behavior problems of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review of the literature.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3(4), 188-216. https://doi.org/10.1177/02711214030230040201
  40. Ramey-Gassert LK(1993) A qualitative analysis of that influenc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e beliefs in elementary teachers (teachers belief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anhattan: Kansas State University.
  41. Wood JJ, Cowan PA, Baker BI(2002) Behavior problems and peer rejection in preschool boys and girl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1), 72-88. https://doi.org/10.1080/00221320209597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