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o-Temporal Variability Analysis of Precipitation Data Through Circular Statistics

순환통계 분석을 통한 강수량 시계열의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

  • Received : 2009.11.12
  • Accepted : 2010.01.27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Assessing seasonality of precipitation is necessarily required to establish future plans and policies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regard, a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an effective approach for assessing the seasonality of the precipitation and evaluate the seasonality through the proposed one. We have used circular statistics to characterize the seasonality on the precipitation in Korea. The circular statistics allow us to effectively assess changes in timing of the seasonality in detail. It was found that peak time on monthly rainfall occurred between end of June and early July in southern coastal area while the timing was delayed in northern part of Korea because of monsoon moving in from south to north. In case of annual daily peak precipitation, spatio-temporal variation of the peak time was increased. It is mainly because of geophysical effects, frequency and paths of typhoons. Finally, temporal variations on the timing of the peak seasons were evaluated through circular statistics by 30-year moving average data. The peak season in the Northen part of Korea (e.g. Seoul and Gangrung) has been moved back from early July to end of July while the peak season has been moved up from middle of July to early Jul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e.g. Busan and Mokpo). It seems that changes in seasonality are mostly modulated by variability in the east-asia monsoon system.

강수량의 계절성은 수자원관리에 매우 중요한 수문요소로서 계절성의 변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미래 수자원관리 및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수량의 계절성을 평가하는데 유리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계절 변동성의 정량적인 해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순환통계치 분석은 시간을 각도로 변환하여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시간적인 변화양상의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하였다. 월최대강수량의 발생 시기는 남해안지역이 6월말에서 7월초이고, 북쪽으로 올라감에 따라 조금씩 발생시기가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최대강수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은 월 최대강수량보다 크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일최대강수량의 경우 지형학적인 영향에 크게 좌우되며, 우리나라의 여름철 극치강수량이 태풍 발생빈도 및 경로와 연관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월최대강수량 및 일최대강수량 발생시기의 이동평균을 통해 발생시기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과 강릉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늦어지고 있으며 반대로 목포와 부산지방은 최대강수량의 발생시점이 앞당겨지고 있었다. 이는 몬순시스템의 거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한, 문영일(2005) Palmer 가뭄지수(PDSI)와 ENSO 지수와의 상관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5B호, pp. 355-364.
  2. 문장원, 이동률(2009) 2008-2009년 가뭄 현황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1514-1518.
  3. 박무종, 김응석, 김중훈(2003) 바람에 의한 우량자료의 변동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2호, pp. 237-249.
  4. 박상우, 전병호, 장석환(2003) 다변량 분석기법에 의한 지점강우의 권역화 연구, 한구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5호, pp. 879-892.
  5. 박창용, 문자연, 차은정, 윤원태, 최영은(2008) 최근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3권 제3호, pp. 324-336.
  6. 서울대학교 대기환경연구소(2009) 동아시아 몬순/장마 시스템의 중장기 변동성 연구 보고서, 기상청.
  7. 유철상, 김상단, 윤용남(2002)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오차와 유출계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호 3호, pp. 307-319.
  8. 이상복, 김경덕, 허준행(2004) 강수자료에 대한 변동성 및 경향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5.
  9. 이정식(1980) 도시화에 의한 강우량변화에 대한 통계학적 해석, 한국수자원학회-제22회 수공학 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1-37.
  10.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2004)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공간적 특성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4년도 정기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897-4902.
  11. 정성인, 유철상, 윤용남(2004) 확률 강우량의 변동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43.
  12. 최영은(1998) 미국 남부지방의 도시강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지리학회, pp. 51-55.
  13. Berens, P. (2009) CircStat: A MATLAB Toolbox for Circular Statistic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Vol. 31, Issue 10.
  14. Boles, L.C. and Lohmann, K.J. (2003) True Navigation and Magnetic Maps in Spiny Lobsters, Nature, 421(6918), pp. 60-63. https://doi.org/10.1038/nature01226
  15. Bowers, J.A., Morton, I.D., and Mould, G.I. (2000) Directional Statistics of the Wind and Waves, Applied Ocean Research, Vol. 22, No. 1, pp. 13-30. https://doi.org/10.1016/S0141-1187(99)00025-5
  16. Fisher, N.I. (1995) Statistical analysis of circular data. Revise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uang, R., Chen, J., and Huang, G. (2007)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the east asian monsoon system and its impacts on climate disasters in china,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 Vol. 24, No. 6, pp. 993-1023. https://doi.org/10.1007/s00376-007-0993-x
  18. Jammalamadaka, S.R. and Sengupta, A. (2001) Topics in Circular Statistics. World Scientic.
  19. Kwon, M., Jhun, J.G., Wang, B., An, S.I., and Kug, J.S. (2005) Decadal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n and WNP summer monso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No.16.
  20. Magilligan, F.J. and Graber, B.E. (1996) Hydroclimatological and geomorphic controls on the timing and spatial variabiity of floods in New England, USA,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78, pp. 159-180.
  21. Pewsey, A. (2004) The large-sample joint distribution of key circular statistics, Metrika, Vol. 60, No. 1, pp. 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