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교통정책 평가 인지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olic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 이원규 (부산발전연구원) ;
  • 정헌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고상선 (도로교통공단 부산지부 안전조사검사부) ;
  • 윤항묵 (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0.02.25
  • 심사 : 2010.03.11
  • 발행 : 2010.06.30

초록

교통정책에 대한 평가는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단순한 빈도분석보다는 평가대상에 대해서 정확한 인지 서열화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도시의 교통정책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도로소통, 대중교통, 주차, 보행환경, 광역교통, 교통정보, 교통전체 7개 분야에 대해서 다차원척도법인 ALSCAL법과 MDPREF법을 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포지셔닝한 결과, 각각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아이디얼 포인트 모형인 ALSCAL법은 지능형 교통체계의 도입 유무에 따른 교통정책별 개선정도, 벡터 모형인 MDPREF법의 경우는 특정 기능의 확충 내지 구축에 따른 교통정책별 개선정도에 대한 인지경향이 있는 것으로 대별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통정책을 수립할 경우에는 아이디얼 포인트 모형인 ALSCAL법과 벡터 모형인 MDPREF법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여 평가자의 정확한 인지 서열화를 기한 후, 이를 함께 고려한 교통정책을 수립,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valuation regarding a transportation policy by an evaluation volition viewpoint there is a difference. Consequently the insurgent analysis which is simple compared to against the evaluation object it was accurate, the analysis which leads the order anger probably is necessary. The research which it sees for the evaluation regarding the transportation policy of the metropolis divided in road being understood, public transportation, parking and pedestrian environment, wide area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transportation field whole. And against these field it tried the ALSCAL method and MDPREF method which is a Multidimensional Scale method and it analyze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for a dimensional analysis ALSCAL method the case of the transportation policy star improvement degree which it follows in introduction presence of intelligence transportation system and MDPREF method it confronted to the transportation policy star improvement degree which it follows in expansion to construction of specific function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is the tendency probably. And the evaluation object and evaluation in the object which will cut the positioning one result was each divided in 4 group. And two methods all it was visible a similar tendency. The ALSCAL method currently transportation system construction degree condition in base and, the MDPREF method currently improvement degree of the transportation policy which it follows in traffic system construction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hereafter traffic policy in bas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희, 김성일, 홍성권, 이태희(1999)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포지셔닝, 한국임학회지, 한국임학회, 제88권 제2호, pp. 133-141.
  2. 고상선(1995) 교통사고 야기 영향요인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3. 김기영, 전명식(1989) SAS주성분분석, 자유아카데미
  4. 김종구, 谷村秀彦(2000)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가로경관 평가,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5권 제3호, pp. 141-151.
  5. 부산발전연구원(2006) 부산시 교통문제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6.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Vol. 32, No. 1, pp. 47-56.
  7. 허우긍(1986)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서울주민의 교통수단선호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4권 제1호, pp. 12-27.
  8. Davison, Mark L (1983) Multidimensional Scaling, John Wiley & Sons.
  9. Green, Paul E. and Vithalar R. Rao (1972) Applied Multidimensional Scaling : A Comparision of Approaches and Algorithms, Holt, Rinehart & Win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