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using DGPS/RTK

DGPS/RTK를 이용한 위험운전 판단장치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07.09
  • Accepted : 2010.01.2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systems such as a digital speedometer or a black box et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safe driving. However that systems are based on after-accident vehicle data, there is limit to prevent the accident before. So in our previous research, by storing, analyzing the Vehicle-dynamic information coming from driver's behavior, we are developing the decision-device which could provide driver with Alerting-Information in real-time to enhance the driver's safety drive. but the performance valuation is not yet executed.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DGPS for pre-developed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The result of test analyzed with the same that the aggregated vehicle dynamics data in DGPS and dangerous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f the performance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s verified by precisely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the risky driving management of vehicle would be effected.

현재 사업용 차량의 교통사고 감소 및 안전운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디지털 주행기록계, 차량용 블랙박스 등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주행 후 저장된 차량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운전 여부를 분석하기 때문에 위험운전을 실시간으로 예방하기에는 큰 한계성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행태에 따른 차량동역학 데이터를 저장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위험운전 판단장치를 개발하였으나, 이에 대한 성능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위험운전 판단장치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DGPS를 이용한 정밀위치 인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위험운전 판단장치에서 취득되는 차량 동역학 데이터와 DGPS를 통하여 취득되는 데이터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축된 정밀위치 인식시스템을 통하여 위험운전 판단장치의 성능이 검증되면 차량의 위험운전 관리에 매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겸 외(1998) DGPS를 이용한 차량의 위치 결정방법, 한국자동차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자동차공학회, 제2호.
  2. 송성재, 조병관(1996) ADAMS를 이용한 차량 조종안정성 해석,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한국자동차공학회, 제4권 제5호, pp. 109-118.
  3. 양경수, 한인환(2007)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위험 운전 인지,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5호, pp. 149-160.
  4. 엄재용, 이인식(2004) DGPS를 이용한 주행차량의 정밀위치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KASE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자동차공학회, pp. 1179-1184.
  5. 오주택 외(2008) 위험운전 유형 분류 및 데이터 로거개발, ITS학회논문지, ITS학회, 제7권 제3호, pp. 15-28.
  6. 오주택 외(2009) 위험운전 유형에 따른 임계값 개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11권 제1호, pp. 69-83.
  7. 이운성, 조준희(2007) 실시간 안전운행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KSAE, 한국자동차공학회, Vol. 15, No. 1, pp. 71-77.
  8. 홍승표 외(2007) VMS에 대한 운전자 반응특성 분석 : DGPS를 이용한 가속도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6호, 통권99호, pp. 111-120.
  9. Anthony J. Healey (2005) Guidance and Control, For Small AUVs Using DGPS and Koppler Aided Intertial Underwater Navigation, www.stormingmedia.us
  10. Nilima B. Kachare (2002) Map-Based Land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DGPS, IEEE, Vol. 1 (26 March 2003), pp. 209-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