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ime in Port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of Vessels using Duration Model

생존분석모형을 이용한 선박의 재항시간 및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 신강원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 정장표 (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3.02
  • Accepted : 2010.05.27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time in port for vessel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capacity of ports. In addition, the time in port for vessels can be directly used for estim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resulted from vessels in port. However, it is unclear which variables can affect the time in port for vessels and what the marginal effect of each variable is. With these challenges in mind, the study analyzes the time in port for vessels arriving and departing port of Busan by using a parametric surviv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log-logistic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time in port for 19,167 vessels arriving and departing port of Busan in 2008, in which the time in por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gross tonnage of vessels, service capacity of terminal, and vessel type.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esulted from full-container vessels, which accounted for about 61% of all vessels with loading/unloading purpose arriving and departing port of Busan in 2008, is about "17 ton/vessel" in the boundary of port of Busan. However, the hotelling greenhouse gas emissions resulted from non-container vessels (3,774 vessels; 20%) are greater than those from the full-container vessels. Henc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more efficient port management polices and technologies to reduce the service time of non-container vessels in port of Busan.

선박의 항구 내 재항시간은 대상항구의 운영상태 파악 및 장래 규모 산정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다. 재항시간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선박의 재항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통계적 분석을 통해 추정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선박의 항구 내 재항시간은 항구 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량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부산항에 입항한 외항선박(19,167척)의 재항시간을 모수적 생존분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로그-정규 가속화시간(AFT: accelerated failure time)모형과 로그-로지스틱 AFT모형이 추정되었으며, 추정결과 재항시간은 부두의 서비스 용량, 선박의 총중량, 선박의 종류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alpha}$=0.05). 추정된 재항시간, 선박별 운항시간, 연료소비량 추정치를 이용하여 선박종류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2008년 부산항에 양적하 및 여객수송 목적으로 입항한 선박의 61%를 차지하는 풀컨테이너선의 부산항계 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7톤/회",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8년 부산항 입항선박의 약 20%를 차지하는 컨테이너선 외 화물운송선박의 정박 시 온실가스 배출량(톤/회)은 풀컨테이너선의 온실가스 배출량(톤/회)보다 크게 나타나, 해당 선박이 취급하는 화물의 양적하 시간 및 접안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류 처리 기술 및 항만운영 정책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200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편람,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총량관리연구부.
  2. 김창곤(2000) 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수준 평가지표에 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15권, 제1호, pp. 39-57.
  3. 박재빈(2007) 생존분석: 이론과 실제, 신광출판사
  4. 백인흠(1998) 선박재항시간에 대한 분석연구: 인천항의 경우. 수산해양교육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제10권, 제1호, pp.1-14.
  5. 부산발전연구원(2010) 항만물류시설, 선박, 컨테이너 수송차량 등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6. 사공훈, 최석범(2009) 국내 벌크선박의 체선원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접안대기시간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25권, 제2호, pp. 263-284.
  7. 윤신휘(2009)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본선의 재항시간 예측,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8. 에너지관리공단(2010) 지구온난화지수의 정의, www.kemco.or.kr/up_load/weather/pds/1GWP.pdf.
  9. 정연식, 송상규, 최기주(2007) AFT 생존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지속시간 예측모형.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5호, pp. 135-148.
  10. 정장표, 김홍배, 이승묵, 이승훈, 장영환(2007). 부산광역시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용역, 부산광역시
  11. 환경부, 환경관리공단(2008)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12. Allison, P.D. (1995) Survival Analysis Using the SAS System: A Practical Guide. SAS Publishing.
  13. Goss, R.O. and Mann, M.C. (1977) The Cost of Ship's Time. Advances in Maritime Economics, edited by Goss, R.O., Cambridge Universitv Press.
  1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6)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StataCorp. (2003) STATA Survival Analysis and Epidemiological Tables. Stata Press.
  16. Washington, S., Karlaftis, M., and Mannering, F.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