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oritization of Intermodal Transportation Facilities with Considering the Budget Rate Constraints of Focal Terminal Types

교통물류거점유형별 예산비율을 고려한 연계교통시설 투자우선순위 분석

  • 오세창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이정우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이규진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t is general that mostly congested sections of national backbone networks have been improved based on the national network expansion plan. However, in case of intermodal terminals which are origins of logistics, it is still so congested that travel time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is long. Therefore,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s plan of major intermodal terminals for the intermodal connector networks between intermodal terminal and national backbone network or intermodal terminal was established. With the limitation of priority methodology applying to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under existing methodology,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d priority methodology. This study includes characteristics of terminal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assessment list, but it does not concentrate on the specific terminal type through survey. To avoid a certain concentration, budget constraint for each terminal type was considered ahead of priority. Finally priority methodology was developed with two-step assessment under consideration that specific terminal is not involved in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project. As a result of calculating weights by survey, effects such as d/c and accessibility fluctuations index through project implementation gain high weight, and degree of region underdevelopment gets next. Although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could not yields the priority by assessment list, it will be useful for setting the direction on policy related to intermodal connector facility projects.

국가기간망 확충에 주력함에 따라 상당부분의 국가기간망 정체 구간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물류가 발생하는 교통물류거점 주변은 여전히 혼잡하여 물류의 기종점 간 통행시간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이에 교통물류거점과 국가기간교통망 간 또는 교통물류거점 간 체계적인 연계교통망 구축을 위해 핵심 교통물류거점의 연계교통체계 구축계획이 수립되었다. 교통물류거점의 연계교통시설 사업의 우선순위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으로는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계교통시설 사업의 특수성인 거점의 특성을 계층구조 및 평가항목에 포함하고, 특정 거점 유형에 연계교통시설 사업이 집중되지 않도록 거점 유형 예산배분 비율을 설문함으로써 연계교통망 사업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이전에 각 거점 유형별로 예산제약을 두었다. 또한, 2단계 평가방법에 따라 특정 거점에 연계교통시설 사업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도록 우선순위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설문을 통한 가중치 산출 결과, 사업 시행과 관련된 변수(D/C, 접근성 변동지수)에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지역 낙후도가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항목값을 이용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지는 못하였지만, 연계교통시설 사업의 투자정책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1999) 도로사업의 투자운선 순위결정 방안 연구.
  2. 교통연구원, 국토연구원 (2000) SOC 투자평가편람.
  3. 국토연구원(1999) 도로사업 투자분석기법 정립.
  4. 국토해양부(2001) 제1차 중기교통시설투자계획.
  5. 국토해양부(2006) 제2차 중기교통시설투자계획.
  6. 국토해양부(2008) 연계교통체계 구축계획 수립연구.
  7. 국토해양부(2009)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8. 국토해양부(2008) 교통체계효율화법 전부 개정(안) 입법 예고.
  9. 성현영(2004) 교통사고를 고려한 지방자치단체 도로투자 우선순위 결정방법(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10. 이재길(2007)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도로정비기본계획의 투자우선순위 재정립, 교통기술과 정책, 제4권 제2호, pp. 122-131.
  11. 정병두(2002) AHP를 이용한 도로사업의 우선순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5호, pp. 45-54.
  12. 충북개발연구원(2003) 충청북도 도로투자운선순위 기준 연구.
  13. 한상진, 박준석, 정유진(2005) AHP 분석기법을 활용한 ASEAN 도로망 투자운선순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1호, pp. 55-65.
  14. Expert Choice, Inc (2000) Decision Makingfor Leaders, Volume II, AHP Series.
  15. Thomas L. Saaty (2001) Decision Making for Leaders, Volume II, AHP Series.
  16. Thomas L. Saaty (2000) The Fundamentals of Decision Marking and Priority Theory with the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Volume VI, AHP Series.
  17. Decision Science (2006) Expert Choice 선진 의사결정지원 Software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