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유입구 위치에 따른 유입공기의 풍속이 배연시스템 성능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Supply Air Velocities by Location of Supply Air Damper on the Performance Efficiency of the Smoke Exhaust Systems

  • 여용주 (호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 임채현 (호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 김학중 (호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 김범규 (호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 박용환 (호서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학과)
  • 투고 : 2010.07.08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1

초록

배연설비는 연기를 배출한 만큼 공기가 유입되도록 계획된다. 이때 유입공기의 속도가 배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FD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재의 위치로부터 급기구가 가까이 설치된 경우 화재 플럼으로 유입되는 기류속도가 빨라져 상승하는 화재 플럼을 흩트려 버리는 현상이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그로인해 배연성능이 저하되어 연기층의 강하가 더욱 빠르게 촉진되었으며 흐트러진 화재 플럼은 연기층을 교란시켜 가시거리를 더욱 나쁘게 하였다. 따라서 공기유입구의 위치는 화재의 위치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 화재 플럼으로의 유입공기속도를 낮추도록 하여야 배연효율이 좋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smoke control systems the amount of air supply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smoke exhaus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upply air velocity on the smoke exhaust behavior using FDS tool. The results showed that fire plume can be disheveled by the rapid air velocities developed when the air supply inlet is located near the fire plume. Disheveled smoke caused the rapid descent of smoke layer level and the reduced visibilit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moke exhaust systems supply air inlet should be located sufficiently far from the location of the fire plume.

키워드

참고문헌

  1. 소방방재청, 국가화재안전기준 NFSC501.
  2. 김학중, 박용환, 임채현, 김범규, "배연창 크기와 스프링클러 작동이 인명안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2, pp.133-138 (2010).
  3. 임채현, 김범규, 박용환, "고층건물에서 연돌효과 및 외기풍속에 따른 배연창의 배연성능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6, pp82-90(2009).
  4. BRE, "Design Methodologies for Smoke and Heat Exhaust Ventilation"(1999).
  5. NFPA, "NFPA92B Standard for Smoke Management Systems in Malls, Atria, and Large Spaces"(2005).
  6. NFPA, "NFPA204 Standard for Smoke and Heat Venting"(2007).
  7. NIST, "CFAST-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 (Version 6) User's Guide", pp.1-2(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