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Stratification Variables Under a New Sampling Frame : A Case Study for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계속조사 표본설계에서 추출틀 변경에 따른 층화변수 선정: 국민여행실태조사 사례연구

  • Received : 2010.08.20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opulation information of target variables when a new sampling design for successive survey is executed. In a research of the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we propose a method for selection of efficient stratification variables which are found in a combination of a existing sample data and a new frame list. At first, if there isn't common identification number between the frame list and the sample data, we find a device to substitute for absence of identification number. At second, we suggest a method to search stratification variables correlated with target variables using statistical methods like regression analysis.

계속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중간에 변경하려고 할 때 부딪히게 되는 문제 중 하나는 기존의 조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주요 관심변수들에 대한 모집단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여행실태조사를 위한 표본설계에서 기존의 표본조사 자료와 새로운 추출틀 자료를 통합하여 효과적인 층화변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먼저 기존의 표본자료의 단위와 추출틀 단위 사이의 식별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번호 외에 일치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이어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적 방법에 의해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토함으로써 적절한 층화변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