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es of Science Clas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s

  • 투고 : 2010.03.22
  • 심사 : 2010.05.13
  • 발행 : 2010.06.3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했다.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9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DASCT-C(Draw-A-Science-Class-Test Checklist)를 실시했다. 또한, 학생들의 응답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4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심층적인 개별 면담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는 4개의 과학 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서 모두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학생들의 비율이 '중립'이나 '교사 중심' 이미지를 지닌 학생들의 비율보다 훨씬 높았다. 또한, 교사 중심 과학 교수-학습관을 지닌 교사 학급보다 학생 중심 과학 교수-학습관을 지닌 교사 학급의 학생들이 더 학생 중심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그 이미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학생들은 재미있거나 인상 깊었던 과학 수업 경험, 자기가 원하는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능동적인 과학학습 과정의 경험, 학교 교육과정 밖에서의 교육 경험, 부정적인 과학 수업 경험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ages of science clas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s. 280 six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and the DASCT-C (Draw-A-Science-Class-Test Checklist) was administered. In addition, four stude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responses deeply.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images of science class for four science subject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ere more 'student-centered' than 'teacher-centered' or 'neutral'. The students of the teacher with student-centered image of science class had also more student-centered images than those with teacher-centered images.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ir images of science class were the experiences of impressed or funny science classes, the perceptions of wanted science classes, the active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utside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negative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훈식 (2006). 중학교 화학 수업에서 외적 표상의 유형 변환을 촉진하는 그리기와 쓰기의 효과 및 활용 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훈식, 김명순 (2008).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64-470.
  3.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193-200.
  4. 곽영순 (2005).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94-502.
  5.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6.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과학.
  7. 권난주 (200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초등과학교육, 24(1), 59-67.
  8. 권난주 (2006). 문장완성과 연상질문으로 알아본 과학자,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과학교육논총, 19, 181-192.
  9. 김경순, 이선우, 한수진, 노태희 (2008). '과학.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 그리기'를 이용한 초등학생들의 과학∙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7(3), 307-317.
  10. 김정민, 여성희, 심규철. (2007). 초등학교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및 과학 교육에 대한 신념. 초등과학교육, 26(5), 489-498.
  11.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2. 박현주, 서호남 (2009). 과학 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492-500.
  13. 서희정,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 (2007).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에 대한 평가가 교사의 수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6(1), 12-23.
  14. 심영옥, 유시덕 (2008). 아동미술활동의 길라잡이 미술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창지사.
  15. 양일호, 김석민, 조현준 (2007).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35-241.
  16. 유주선 (2009). 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관심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지연, 강훈식, 노태희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94-106.
  18. 윤 진, 박승재, 명전옥 (2006).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675-690.
  19. 이지영, 김희백, 주은정, 이수영 (2009). 중학생들의 과학과 과학 학습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진로 선택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34-950.
  20.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 (2008).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1-8.
  21. 장소영, 노석구 (2005). 초등학생의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4(4), 435-442.
  22. 조영남 (2003). 초등 교사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 학습 환경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1), 179-205.
  23. 조현준, 양일호, 정재훈, 신애경, 손정주 (2008).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7(2), 117-133.
  24.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25. 주은정, 이수영. 김재근. 이지영 (2009). 초등학교 3학년의 과학자와 과학 학습에 대한 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8(1), 35-45.
  26. Chamber, D. 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Draw-A-Science-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https://doi.org/10.1002/sce.3730670213
  27. Finson, K. D. (2001).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f efficacy relative to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3(1), 31-42. https://doi.org/10.1007/BF03176931
  28. Finson, K. D., Thomas, J., & Pedersen, J. (2006). Comparing science teaching styles to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1), 8-1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6.tb18066.x
  29. Glynn, S. (1997). Drawing mental models. The Science Teacher, 64(1), 30-32.
  30. Thomas, J. A., & Pedersen, J. E. (2003). Reforming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What about extant teaching belief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7), 319-330.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09.x
  31.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피인용 문헌

  1.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vol.36, pp.1, 2017,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