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ing Ethics Education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초중등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09.12.21
  • Accepted : 2010.07.0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find out their recognition on the needs for ethics education at school.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of 594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tudying in college/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experience in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2) recognition on the need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the need for i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or open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37.4% of participants obtain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from the mass media, and 23.5% from the school education. Only 8.4% of the participants had the experience of taking class on eth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erms of level of confidence in understanding the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verage response was 2.73. However, their perception on the needs of the ethics education ranges from 3.34 to 4.58, which is much stronger than other responses on average. This strong perception on the needs was much higher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than those of the secondary school(p<.05). All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ed for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t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 responses for which subject should provide ethical issues 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lass was most frequently suggested (62.4%), followed by ethics class (29.1%). In responses for the most efficient form of learning, they suggested that case studies (43.5%), followed by discussions (41.4%) would be an efficient way to learn. Even in the responses of open questionnaires asking for efficient ways of learning ethical issues, participants suggested that discussions on various ethical issues on the cas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would provide practical and substantial learning.

본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기술 윤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 및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윤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개 지역에 위치한 6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과학교사 5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1)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수강 경험, 2)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인식, 3) 초중등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3개 영역, 총 35문항(Likert 5점 척도, 선택형, 서술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의 37.4%는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다고 하였으며, 학교를 통해 얻는 비율은 이보다 낮은 23.5%로 나타났다. 대학에서 개설된 과학기술 윤리 관련 강좌를 수강한 비율도 전체의 8.4%에 불과하여 예비과학교사 대상의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부재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기술 윤리에 대한 자신감도 평균 이하(Mean=2.73)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이들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평균 이상(최소값=3.34, 최대값=4.58)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윤리 인식은 중등 예비과학 교사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가 더 높았다(p<.05). 초중등 과학기술 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항목에 대해 초중등 예비과학교사 모두 평균 4.0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는 교과목은 과학이 62.4%로 가장 높았으며, 도덕 윤리(29.1%)가 다음으로 높았다. 과학기술 윤리 교육에 효과적인 수업의 형태로는 사례제시(43.5%), 토론 중심의 수업(41.4%)을 선택하였다. 서술형 응답에서도 많은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기술 윤리교육이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사례에 대한 토론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진, 최경희, 송성수 (2001). 과학윤리 모니터링. 송성수 편. 세계과학회의 후속조치를 위한 국내 과학기술활동의 점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김상돈 (2006).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생명윤리, 7(2), 53-72.
  3. 김옥주, 최규진, 최은경, 홍정화, 타쿠야, 이상욱 (2009). 해외 연구윤리 확립 활동 사례.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학술진흥재단.
  4. 문경원, 김영수 (2003). 제7차 교육과정 7-12학년 과학 및 생물 교과서 내의 생물 윤리 주제와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3), 257-264.
  5. 박인옥, 김희백 (2007). 생명 윤리 내용에 대한 준거 카드 활용 가치 판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78-190.
  6. 손화철 (2007). 한국 대학의 연구윤리교육 실태 분석. 철학사상, 24, 2007, 143-183.
  7. 이인제, 손경원, 이민주, 이동훈 (2008). 2008년 국내 연구윤리 활동 실태 조사.분석.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8. 이인제, 최경석, 홍석영, 이향연 (2007). 국내 연구 윤리 활동 실태 조사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9. 조희형 (2008). 과학윤리교육의 이론과 방법. 집문당.
  10. 조희형, 최경희 (1998a).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의 필요성과 그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559-570.
  11. 조희형, 최경희 (1998b).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2), 97-108.
  12. 조희형, 최경희 (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3. 최경희, 장현숙, 조희형 (2003). 과학의 사회성과 윤리적 특성에 대한 여고생들의 인식: 물리 영역의 소음과 방사능 단원을 중심으로. 새물리, 46(1), 10-17.
  14. 최경희, 조희형 (2001). 과학의 윤리적 특성 주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생명윤리, 2(1), 57-67.
  15. 최경희, 조희형 (2002).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05-113.
  16. 최경희, 조희형 (2003).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31-143.
  17. 홍석영, 이상욱, 구영모, 조은희 (2005). 생명과학 연구윤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자들의 의견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82-94.
  18. 홍성욱 (2006). 연구윤리와 교육 : 교육과정.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정부정책 방안 연구"를 위한 연구 윤리정책위원회 발표 자료.
  19. SciON (2006). 줄기세포 사건, 수업료만큼 배웠나? 한겨레21, BRIC, SciON . 출처: http://www.scion. net/survey/report/ sc_162.pdf
  2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uthor.
  2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Bailey, C. D., Hasselback, J. R., & Karcher, J. N. (2001). Research misconduct in accounting literature: A survey of the most prolific researchers' actions and beliefs. ABACUS, 37(1), 26-54. https://doi.org/10.1111/1467-6281.00073
  23. Bowman, L. L., & Anthonysamy, A. (2006). Malaysian and american students' perceptions of research ethics. College Student Journal, 40(1), 11-24.
  24. Broom, M. E., Pryor, E., Habermann, B., Pulley, L., & Kincaid, H. (2009). The scientific misconduct questionnaire-revised (SMQ-R): Validation and psychometric testing. Accountability in Research, 12, 263-280.
  25. Fullick P. & Ratcliffe, M. (eds) (1996). Teaching ethical aspects of science. Southampton: The Bassett Press.
  26. Lee, H., Choi, K., Chang, H. (2006).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moral engagement wit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5), 646-659.
  27. Martinson, B. C., Anderson, M. S., & de Vries, R. (2005). Scientists behaving badly. Nature, 435, 737-738. https://doi.org/10.1038/435737a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9. Reiss, M. J., & Straughan, R. (1996). Improving nature? The science and ethics of genetics engineer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NY: Routledge.
  31. Swazey, J., Anderson, M., & Louis, K. (1999). Ethical Problems in Academic Research: A survey of doctoral candidates and faculty raises important questions about the ethical environment of graduate education and research. American Scientist, Nov/Dec93, 81(6), 542-553.

Cited by

  1. 과학사 활용 과학 윤리 수업 모형 개발 vol.32,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46
  2.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45,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4.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