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marker를 이용한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특성 분석

Analysis of Major Traits for Native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Collected from Poonggi Area in Korea Using DNA Marker

  • 임순영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홍집 (경북농업기술원) ;
  • 류태석 (경북농업기술원) ;
  • 권태룡 (경북농업기술원 풍기인삼시험장) ;
  • 최진국 (경북농업기술원 풍기인삼시험장) ;
  • 손재근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him, Soon-Young (Department of Agronom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Hong-Jib (Gyeongsangbuk Do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Ryu, Tae-Seok (Gyeongsangbuk Do Agricultural Technology Administration) ;
  • Kwon, Tae-Ryong (Poonggi Ginseng Experiment Station Gyeong Buk Provincial A.T.A) ;
  • Choi, Jin-Kook (Poonggi Ginseng Experiment Station Gyeong Buk Provincial A.T.A) ;
  • Sohn, Jae-Keun (Department of Agronom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0.09.30

초록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 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 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 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 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 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 cluster distance were observed between the collections of 331002, 331004, 331005, 331007 and 331026 from Poonggi area, and the collections of 332009, 332021, 332046, 332050 and 332066 from Geumsan area because of the sensible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leaves per stem, stem color and petiole color. Thus, the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with specific characters consisting of one stem per plant, five leaves per stem and broad elliptic leaflet shape were finely classified using nine primers including OPD05, OPD20, OPG17, OPH05 and so 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331007 from Poonggi area was considered as the respective collection with above characters. Thus, the nine primers such as OPD05 and so on, will be used to select the Poonggi ginseng in the future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Cha, S. K., Y. C. Kim, J. E. Choi, J. S. Choi and K. K. Kang. 2003. Genetic variation in among cultivated field populations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using RAPD. Korean J. Plant. Res. 16(3) : 251-256.
  2. Kim, J. H., J. A. Yuk, S. K. Cha, H. H. Kim, B. J. Sung, S. I. Kim and J. E. Choi. 2003. Genetic variation in pure line of Panax ginseng based on by RAPD analy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2) : 102-108.
  3. Kwon, W. S., C. M. Chung, Y. T. Kim, M. G. Lee and K. T. Choi. 1998.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G101, a superior line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 J. Ginseng Sci. 22 : 11-17.
  4. Kwon, W. S., J. H. Lee, C. S. Park and D. C. Yang. 2003.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opoong, a new variety of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7(2) : 86-91. https://doi.org/10.5142/JGR.2003.27.2.086
  5. Murray, M. G. and W. F. Thompson. 1980.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Nucleic Acids Res. 8 : 4321-4325. https://doi.org/10.1093/nar/8.19.4321
  6. Rhim, S. Y., J. K. Sohn, T. S. Ryu, J. K. Choi, T. R. Kwon, and H. J. Choi. 2010 Analysis for the major traits and genetic similarity of nativ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collections in Korea. Korean J. Breed. (Submitted).
  7. 김요태, 김종만, 이성식. 1979. 이식 방법에 따른 생장 특성 비교시험. 고려인삼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 분야). pp. 473-484.
  8. 김요태, 정찬문, 권우생, 이장호, 정열영, 강제용, 최광태. 1992. 인삼 신품종 육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 분야). pp. 5-61.
  9. 목성균, 이성식, 천성기, 신동양. 1986. 인삼포 전국 확대를 위한 최적 환경 조성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 분야). p. 700.
  10. 박훈, 이명구, 변정수, 이종률. 1983. 논삼 재배 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p. 142-158.
  11. 신동양, 목성균, 천성기, 이태수. 1992. 인삼의 생산비 절감 및 재배기술연구.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p. 256-259.
  12. 임순영: 2009. 국내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수집 자원의 주요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p. 20-26, 부록 1, 2.
  13. 한국담배인삼공사. 1991. 표준 인삼경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