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with or without Indirect Moxibustion Treatment for Acute Ankle Sprain

급성 족관절 염좌에 대한 침구병행 치료와 침 단독 치료 효과의 비교 연구

  • Woo, Chang-Hoo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nny University) ;
  • Kwon, O-Go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nny University) ;
  • An, Hee-Duk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nny University)
  • 우창훈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권오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안희덕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09.12.01
  • Accepted : 2010.01.06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with or without indirect moxibustion treatment for acute ankle sprain.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48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or acute ankle sprain from June 1st to November 30th 2009 in the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Pohang Oriental Medical Hospital, Daegu Hanny Universit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 Group A took near acupuncture point_needling, Group B took remote acupuncture point needling, Group C took remote acupuncture point needling with indirect moxibustion. 3 Groups had been co-treated with rest, ice, compression and elevation(RICE) therapy, physical treatment and administered Ojeok-san(Wuji-san) extract granule. To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each treatment, Ankle-Hindfoot Scale(AHS)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appli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3rd treatment. Results : In results, the AHS scores were increased and the VAS scores were decreased after 3rd treatment in all group. Also, AHS scores and the VAS scores of intergroup wer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only acupuncture treatment and moxibustion co-treatment for acute ankle sprain.

Keywords

References

  1. 조남근, 김경식. 捻挫의 鍼治療에 關한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1995;12(1):73-8.
  2. 구회서 외 역. 整形醫學. 서울:현문사. 1993:19, 47-72, 87-192.
  3.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4판. 서울:최신의학사. 1998:616-7, 643-6.
  4.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진료편람. 서울:의학출판사. 1994:499.
  5.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2판. 서울:군자출판사. 2005:222-3.
  6. 오재근, 이명종, 김성수. 스포츠 活動시 發生한 足關節 捻挫의 診斷 및 治療. 대한한의학회지. 1992;13(2):26-42.
  7. Brukner P, Khan K. 하권익 역. 임상스포츠의학. 서울:최신의학사. 1995:465-74.
  8. 안호진, 정동화, 황규선, 윤기붕, 김태우, 문장혁, 백종엽, 이상무. 족과관절염좌 환자에 대한 동씨침법과 일반침법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3;20(1):120-30.
  9. McCaw ST. The biomechanics of prophylactic ankle support.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1999;18(1):23.
  10. 유태섭, 박동석, 강성길. 족관절 염좌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21(3):168-75.
  11. 우현수, 이윤호, 김창환. 구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및 최근 연구 동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4):1-15.
  12. 조윤철, 나경원, 정원석. 損傷 靭帶 부위 阿是穴의 直接灸를 이용한 부위별 捻挫治驗 3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1):163-9.
  13. 박종민, 윤문식, 우 인, 박원상, 윤유석, 정성엽, 김성용, 이종수. 족관절 염좌에 대한 경근 첩대요법의 치료방법에 따른 무작위대조 임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회회지. 2006;16(1):63-71.
  14. Hoppenfeld S. 김형묵 역. 척추사지검진 ATLAS. 서울:고려의학. 1989:203-23.
  15. 박창일, 문재호. 재활의학. 서울:도서출판 한미의학. 2007:896-8.
  16. Cailliet R. 강세윤 외 역. 연부조직의 통증 및 장애의 기전과 치료. 서울:도서출판 영문출판사. 2001:3-6, 427-9.
  17. 우경하, 심우진, 류수민, 신현대. 족관절염좌에 SSP전자침 요법을 병행한 動氣療法의 효과. 대한추나의학회지. 2000;4(1):89-98.
  18. 송춘호, 강성길. 십이경근과 십이피부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86;6(1):179.
  19. 황지식, 류수민, 류은경. 동씨침법을 이용한 급성 족관절 염좌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회지. 2002;12(3):123-9.
  20. 최용태, 이수호. 정해침구학. 서울:성보사. 1979:700-1.
  21. 한규진, 오민석, 최승훈. 耳鍼療法을 시행한 족관절 염좌 환자 48례에 대한 臨床的 考察. 대전대학교 논문집. 2004;13:287-93.
  22. 이임근, 유성현, 최홍식. 침치료를 중심으로 족과관절 염좌 62례 치료효과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1990;7(1):177-85.
  23. 송호섭. 급성 족관절 염좌에 대한 봉약침 효과-무작위대조시험, 이중맹검. 대한약침학회지. 2008;08(02):11-6.
  24. 김기열, 우경하. 족관절 염좌에 SSP 전자침 요법을 병행한 動氣鍼法의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2):323-31
  25. 황종순, 임대정, 황지혜, 조현석, 김경호. 급성기 족관절 염좌에 있어 자락발관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무작위 대조 실험. 대한침구학회지. 2005;22(3):243-52.
  26. 김영일, 김영화, 이 현, 이병렬. 足關節捻挫 患者 26例에 對한 체침 치료와 Trigger Point 治療와의 比較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1;18(5):50-9.
  27. 이동열, 김순중. 족관절 염좌에 대한 족과관절 견인치료의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39-46.
  28. 윤병현, 김갑성. 각종 염좌상에 대한 침구치료법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6;13(2):127-59.
  29. 황병길, 윤여충. 간접구가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9;16(4):271-81.
  30. 주태청, 최용태. 쑥뜸자극이 한랭스트레스로 유발된 면역 및 갑상선 기능저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8;15(2):157-71.
  31. 황우준, 양귀비. 애구가 말초혈액순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7;18(1):499-505.
  32. 김혜경, 강성길, 박영배. 시구방법이 Adjuvant 관절염 흰쥐의 혈액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8;15(2):137-50.
  33. 임성택, 김경호, 김갑성. 애구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4;11(1):327-36.
  34. 허준. 東醫寶鑑. 서울:남산당. 1989:756.
  35. Cotran RS, Lumar V, Robbins SL.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ition. SAUNDERS. 1992:51-92.
  36. 전국한의과대학교 침구.경혈학교실 편저. 침구학(상,하). 서울:집문당. 1988:1051-60, 1338.
  37. 김대중, 최용준, 김도호, 엄재연, 송계화, 이진석, 조남근. 급성기 족관절 염좌의 近位取穴과 遠位取穴의 치료 효과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25-33.
  38. 정효근, 정영표, 강수우, 이지은, 위준, 임정아, 김재홍, 류충열, 조명래, 윤여충. 급성기 족관절 염좌 환자에 대한 患側取穴과 建側取穴의 치료 효과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25(3):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