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Sanghanron Prescription in Traffic Accident Patient

교통사고 환자에 대한 상한론 처방의 유의성 연구

  • Jeon, Tae-Do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Oh, Min-Seok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전태동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09.12.01
  • Accepted : 2010.01.15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proof of availability for Sanghanron prescription. Methods : The study group comprised 80 Koreans, male:female ratio of 31:49, with mean age of 40.78 years. The SF-MPQ and PDI were checked hospitalized and discharged patients. Results : 1. The most uesd prescription is Galgeun-Tang(Gegen-tang) and the other 30 prescriptions were uesd. 2. Hospitalized pati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F-MPQ and PDI scores(P<0.05). 3. The treatment was effective to 72 patients out of 80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less than 14 days. 4.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Lee's the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7 days of treatment, but the other compared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 This data suggested that the Sanghanron prescription could be effective treatment about traffic accidental patients without surgical injury.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Sanghanron prescription.

Keywords

References

  1. 이선미, 김정희.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2002;21(3):547-63.
  2. 신용승, 박종배, 김종훈, 최정림, 김덕호. 교통사고 후유증관리에 대한 한의학적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1-11.
  3. 김기형, 최진봉. 교통사고 환자 5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1;12(4):91-9.
  4. 김건형, 최양식, 남동우 외 4명. 교통사고 후 편타성 손상에 대한 침치료 및 봉독약침치료의 유효성 평가. 대한침구학회지. 2006;23(6):146-52.
  5. 김민규, 허정은, 박선미. 교통사고 환자의 한방 변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245-50.
  6. 신상우, 김정범. 상한잡병론의 진단체계에 대한 연구. 동의병리학회지. 1998;12(1):1-18.
  7. 신흥묵. 상한잡병론의 약물제량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9;20(3):3-8.
  8. 大塚敬節著, 박병희역. 상한론해설. 서울:의방출판사. 2004:21-68.
  9. 吉益東洞. 藥徵. 서울:청홍. 2006:81-4, 95-100, 105-11, 116-26, 139-44, 161-71, 189-90.
  10. 이정단. 藥徵을 통해 본 吉益東洞의 의학사상 연구.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2006.
  11. 홍원식, 안상우. 상한론에 나타나는 복진의 임상적 고찰.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2002.
  12. 최명희. 복진을 통한 상한론.금궤요략 약물, 처방의 응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2006.
  13.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 예진 설문지. URL:http://www.bokchi.com
  14. Melzack, R. The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Pain.1987;30:191-7. https://doi.org/10.1016/0304-3959(87)91074-8
  15. 이배환, 손진훈. 실험 및 임상 장면에서의 동통 측정법에 관한 고찰. 학국심리학회지. 1996;15(1):163-88.
  16. 송영일, 진광선, 신혜란, 윤일지 등.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의 임상적 분석과 한방치료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2):77-89.
  17. 김영욱, 이경민, 김성웅, 이세연, 서정철, 정태영, 임성철, 한상원. Pain Disability Index와 Visual Analougue scale을 이용한 경항통에 대한 팔체질침의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3;20(1):202-8.
  18. 김성용, 금동호, 이명종. 통증의 평가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7(2):205-19.
  19. 이지은, 정효근, 류충열, 조명래 등. 교통사고 환자 12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8;25(6):135-43.
  20. 교통사고 통계분석.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 서울: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7:73.
  21.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의료비통계를 이용한 자동차사고 상해에 관한 분석. 서울:보험개발원. 2004:84.
  22. 강재희, 장석근, 이현, 이병렬.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성 손상 환자 37례에 대한 임상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2;19(3):180-91.
  23. 고기숙, 김순중, 오민석, 송태원, 이철완.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방적 치료방법과 증례(260명)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1993;3(1):107-21.
  24. 윤일지, 오민석, 송태원. 교통사고 후유증 환자 112례에 대한 임상분석. 한방재활의학회지. 1998;8(1):317-32.
  25. 김유진, 차윤엽. 경항부.요부 통증환자와 교통사고환자의 치료 전.후에 따른 7구역진단기의 특성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1):225-31.
  26. 이재원, 신진봉, 이승희, 원진희. 藥懲과 類聚方을 통한 장중경(상한론)에서의 人蔘 활용에 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5):1057-64
  27. 노의준, 강한은. 古方類聚. 서울:고방. 2009:26-39, 75-80, 179-83, 219-38, 301-11.
  28. 李崇仁. 古方撰次. 부산:교정의서국. 2008:10-22, 50-75, 105-12, 208-10.
  29. Ackerman, M.D., and Stevens, M. J. Acute and chronic pain: Pain dimensions and psychological statu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89;45(2):223-8. https://doi.org/10.1002/1097-4679(198903)45:2<223::AID-JCLP2270450208>3.0.CO;2-Y
  30. 박현순, 원효택. 임상통증의 측정에 관한 연구개관. 심리학과. 1994;3(2):1-22.
  31. 김은주. 노인 통증사정을 위한 한국어 판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SF-MPQ)의 신뢰도와 타당도. 임상간호연구. 2004;10(1):20-7.
  32. 이은옥, 이숙휘. 정상성인에서의 한국어휘를 이용한 통증척도의 타당성 조사. 간호학회지. 1986;16(2):13-28.
  33. Pollard CA. Preliminary Validity Study of Pain Disability Index. Percept Mot Skills. 1984;59(3):974. https://doi.org/10.2466/pms.1984.59.3.974
  34. Tait RC, Pollard CA, Margolis RB, Duckro PN, Krause SJ. Pain disability index (psychometri and validity data). Arch Phys Med Rehabil. 1987;68:438-41.
  35. 안규혁, 최승훈, 김정범.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물이 어혈병태모형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7;11(1):65-76.
  36. 송주현, 조재희, 이효은.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성 손상 환자의 어혈방(瘀血方) 치료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24(6):97-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