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다단식(多段式) 유연성 토석류 방지시설에 관한 적용성 검토 연구

  • 백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최영철 (지오브르그 코리아) ;
  • 권오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 ;
  • 최승일 (지오브르그 코리아)
  • Received : 2009.12.28
  • Accepted : 2010.06.29
  • Published : 2010.08.01

Abstract

Debris flows are a natural hazard which looks like a combination of flood, land and rock slide. Large rainfall in July 2006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debris flows and many small debris flows that resulted in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and railway damage, a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ational media. The hazard "debris flow" is still insufficiently researched. Furthermore debris flows are very hard to predict. Flexible Ring net barriers are multi-functional mitigation devices commonly applied to rock fall or floating wood protection in floods, snow avalanches and also mud flows or granular debris flows, if properly dimensioned for the process or processes for which they are intended. Overtopping of the barriers by debris flows and sediment transport is possible, supporting the design concept that a series of barriers may be used to stop volumes of debris larger than are possible using only one barrier. The future for these barrier concepts looks promising because these barriers represent the state of art for such applications and are superior to many other available options.

토석류는 사면 붕괴,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수반하는 자연재해의 일종이다. 2006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도 등의 국가 기간망이 통제되어 언론에 보도되는 사태가 발생하곤 하였다.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충실히 수행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원인으로는 예측이 매우 어려웠을 뿐 아니라, 발생위치가 산지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도심지 및 주택가에서 발생하지 않아 국민들에게 부각되지 않았던 이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댐 등의 대책방안이 수립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단점 및 보완점을 개발하여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계곡부의 특성 및 형상에 따라 다단계의 유연성 시설물을 설치함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대상지역을 2개소 선정하여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Site A, B 지역에 토석류 방지시설이 각각 17개와 13개가 설치요구되었다. 향후 토석류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 및 방안에 대하여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방재청(2005),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p. 93.
  2. 행정자치부(1997), 재해영향평가를 위한 기초자료조사 및 평가기법 연구보고서, p. 241.
  3. 建設省砂防部砂防課(2000), 土石流對策技術指針(案), p. 250.
  4. DeNatale, J. S., Fiegle, G. L. and Fisher, G. D.(1996), Response of the Geobrugg Cable Net System to Debris Flow Loading (Plus Appendices), Report Prepared by the California Polytechnic State University for Brugg Cable Products, Inc., Santafe, New Mexico, p. 68.
  5. Mitzuyama, T., Kobashi, S. and Ou. G.(1992), Prediction of Debris Flow Peak Discharge, Interpraevent, Bern, Bd. 4, pp. 99-108.
  6. PWRI(1988), Technical Standard for Measures Against Debris Flows (Draft), Ministry of Construction, Japan, pp. 4-14.
  7. Rickenmann, D.(1999), Empirical Relationships for Debris Flows, Natural Hazards, No. 19, Vol. 1, pp. 47-77. https://doi.org/10.1023/A:1008064220727
  8. Rickenmann, D.(2001), Estimation of Debris Flow Impact on Flexible Wire Rope Barriers, Unpublished Internal Geobrugg Report, pp. 14-17.
  9. Roth, A.(2009), Debris Flow Mitigation by Means of Flexible Barriers, Geobrugg Report, pp. 10-13.
  10. Wendeler, C., McArdell, B. W., Rickenmann, D., Volkein, A., Roth, A. and Denk, M.(2005), Testing and Numerical Modelling of Flexible Debris Flow Barriers, Unpublished Internal Geobrugg Report, pp.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