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Slope Collaps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hyllite Slope

천매암 지역에서의 비탈면 붕괴 원인규명 및 보강대책 사례연구

  • 조영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임대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6.17
  • Accepted : 2010.07.09
  • Published : 2010.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mergency rehabilitation, cause and the countermeasure of reinforcement about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the slope collapse of the phyllite ground. The study area is broken easily because this area has rock mass discontinuity such as stratification, foliation, joint and fold. And this area consists of the ground where it happens easily to the failure of structure like reinforced retaining wall because of the phyllite ground sensitive to weathering. Counterweight fill in front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was performed as emergency rehabilitation about displacement of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the failure at the rear of slope on phyllite ground. After that, additional displacement didn't occur. Boring and geophysical exploration were launched to present emergency rehabilitation and develop the long-term method of reinforcement. This could grasp anticipated range of the failure section and identif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cause of the slope collapse. Several methods of reinforcement were suggested by conducting the numerical analysis. When conduct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major structures at the ground which has complex discontinuities, the precise site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During construction, immediate action for over-displacement should be taken by performing the periodic measurement.

본 연구는 천매암지역에서 발생한 보강토옹벽 및 배후비탈면 붕괴사고에 대한 응급복구, 원인규명 및 보강대책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현장은 암반내 층리, 엽리, 절리 그리고 습곡 등과 같은 암반불연속면이 발달해 쉽게 부스러지며 풍화에 민감한 천매암질 지반으로써 보강토옹벽 등과 같은 구조물의 붕괴가 유리한 지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매암지반에서의 보강토옹벽의 과변위와 배후 비탈면의 붕괴에 대한 응급복구로써 보강토옹벽의 전면에 압성토를 실시하였고, 압성토 실시후 추가적인 변위는 발생하지 않았다. 원인규명과 장기적인 보강대책 마련을 위해 실시한 시추조사와 물리탐사에서 예상파괴구간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비탈면의 붕괴원인의 내적 외적 요인을 구명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실시한 수치해석을 통해 몇 가지의 보강대책을 제시하였다. 천매암지반과 같은 복잡한 불연속면을 가지는 지질 조건에서 주요 구조물 설계 및 시공시 정밀한 지반조사를 실시해야하며 구조물 시공시 주기적인 계측을 실시하여 과변위에 대한 즉각적인 조처를 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일, 김교원, 구호본, 백용, 최정해(2003), 구성 암종별 절토사면의 붕괴유형, 2003년도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3860-3865.
  2. 소방방재청(2008), 절취사면 조사.설계 기술 개발연구 및 사면통합관리 시스템개발, pp. 284-538.
  3. 송영석(2006), 사면붕괴가 발생된 절개사면에서의 억지말뚝 보강 사례연구, 지질학회지, Vol. 16, No. 2, pp. 189-199.
  4. 신희순(2000), 지반조사 및 시험결과 활용과 문제점, 터널과 지하공간, Vol. 10, No. 1, pp. 92-110.
  5. 이경미, 이성호, 서용석, 김창용, 김광열(2007), 천매암 터널 단층물질의 암석.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Vol. 17, No. 3, pp. 339-350.
  6. 이승언(2007), 살아있는 토목시공학, 구미서관, pp. 82-88.
  7. 정형식, 유병옥(1996), 지질특성에 따른 암반사면 붕괴 유형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2, No. 6, pp. 37-49.
  8. 한국도로공사(1996), 사면안정처리공법에 관한 연구(II), 도로연 96-46-10, pp. 195-198.
  9. 한국시설안전공단(2006), 건설공사 비탈면설계기준, pp. 127-130.
  10. 한국지반공학회(2009), 지반기술자를 위한 지질 및 암반공학, 씨아이알, pp. 1-641.
  11. Hoek, E. and Bray, J. W.(1974), Rock Slopes Engineering,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pp. 74-108.
  12. Hoek, E. and Bray, J.(1981), Rock Slopes Engineering 3rd eds,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London, pp. 18-34.
  13. Rocscience Inc.(2006), Slide 2D Limit Equilibrium Slope Stability for Soil and Rock slopes Verification Manual, pp. 1-127.
  14. Varnes, D. J.(1978),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In Special Report 17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