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료소비자의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과 기대도의 관련성

A Relationship Between Dentistry Consumers'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Dental Implants

  • 유은미 (극동정보대학 치위생과) ;
  • 심현주 (순천향대학교 보건대학원)
  • Yoo, Eun-Mi (Dept. of Dental Hygiene, Keukdong College) ;
  • Shim, Hyun-ju (Dept. of Oral Health, Graduate School, SoonChunHyang University)
  • 투고 : 2010.07.09
  • 심사 : 2010.08.17
  • 발행 : 2010.08.30

초록

본 연구는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 및 기대도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환자상담과 정확한 임플란트 정보를 제공하고자 2008년 3월 23일 부터 2008년 6월 5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한 치과 병(의)원에 내원하고 있는 의료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t-test와 One-way ANOVA 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에 대한 인지여부는 84.7%가 예라고 대답했으며, 인지경로는 주위소개가 26.7%로 가장 많았다. 임플란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정도는 조금 알고 있다가 34.1%로 가장 많았고 적당한 임플란트 가격은 100만원 미만이 47.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임플란트 가격이 비싼 이유는 33.3%가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라고 대답했으며, 치료를 원하는 임플란트 시술병원으로는 임플란트 전문병원이 58.5%로 가장 많았고 치료 시 선택기준은 치과의사의 시술능력이 57.7%이었으며, 임플란트 수명은 5년 이상 -10년 미만이 25.4%, 10년 이상-15년 미만이 25.4%로 가장 많았다. 2.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지식을 분석한 결과 최대값이 4.06, 최소값이 3.05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임플란트 시술 후 정기검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4.06으로 가장 높았으며, 임플란트 수명에 담배가 영향을 준다는 의견이 3.82, 임플란트 시술시 통증이 심할 것이라는 견해가 3.79, 임플란트 성공률이 90% 이상이라고 생각한다는 의견이 3.26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3.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기대도를 살펴보면 최대값이 4.42, 최소값이 2.62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임플란트 시술능력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4.42로 가장 높았으며, '임플란트 재료의 종류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4.04, '임플란트가 틀니보다 좋다'는 의견 3.99, '임틀란트가 브릿지 보다 좋다'는 견해가 3.7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플란트 지식과 기대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 지식정도는 여자가 3.41점, 남자가 3.30점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지식의 대한 정도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에 있어서의 지식정도는 전문직이 3.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대도에 있어서는 전문직이 3.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과 기대도 변인 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임플란트 지식과 기대도에 대한 상관계수는(r)는 0.362로서 양(+)의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1). 위와 같은 결과를 볼때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과 기대도는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임플란트 지식이 기대도 측면에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ients'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dental implants and to provide effective consulting and accurate information on implants to them. To that end, between March 23, 2008 and June 5, 2008, patients who were visiting dental clinics (hospita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reas were surveyed. 84.7% of subjects said that they recognized implants,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m (26.7%) of subjects came to know via friend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subjects' knowledge of the dental implant operation, the maximum value was 4.06, and the minimum value was 3.05. The opinion value on the need to have regular examination after the implant operation was highest at 4.06. Regarding expectation over the implant operation, the maximum value was 4.42, and the minimum value was 1.78. The opinion value on considering the implant operation capability the most important was the highest at 4.4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and expectation over implants was significant. By gender, femal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knowledge than males. Regarding preference, females scored 3.27 points, and males scored 3.23 points. By occupation, professionals earned the highest score of 3.55 in knowledge, and professionals earned the highest score of 3.31 in expect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knowledge of and variables of expectation over impla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he two factors was 0.362, indicating a positive relevancy(+)(p<.01).

키워드

참고문헌

  1. 황윤숙 등 : 치과 임플란트학. 대한나래출판사, 서울, pp.3-8, 2006.
  2. Jang BJ: Motivation of decisions in dental imlant prosthesis according to ages and gen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ong-ang University, Seoul, 2002.
  3. Carl E. Misch: 최신 임플란트 치과학. 제2판. 나래출판사, 서울, pp.84-92, 2000.
  4. Park HR: A study on recognition of dental implant of dental patient in the city of Jin-ju. J Korean Acad Dental Hygine Education 7(3): 285-296, 2007.
  5. Lyoo YJ: A questionnaire on awareness about the dental impl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2004.
  6. Daniels, AH: Complexities of implant dentistry demand. that dental hygienists be knowledgeable. Prepard Dent Implanol Update 5(5): 37-40, 1994.
  7. Jung EY: A study on the evaluation & recognition of implant prosthet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4.
  8. Kim HJ: A study of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ntal hygienists on dental impla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3.
  9. Carr A, Laney WR: Maximum occlusal force levels in patients with osseointegrated oral implant prothesis and patients with complete dent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 2: 101-110, 1987.
  10. Clearly PD, McNeil BJ: Patient satisfaction as an indicator of quality of care. Inquiry, 25: 25-36, 1988.
  11. Shin CH: A study upon analyzing patients' satisfactions by the areas of his/her dental losses followed by dental impla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4.
  12. Carr AB: Successful long-term treatment outcome in the field of osseointegrated implants. prostodontic determinants Int J. Prosthodont 11: 502-512, 1998.
  13. Preiskel HP, Pepie T: Treatment outcomes in implanttherapy: The influence of surgical and prosthodontic experience. Int J. Prosthodont 8: 273-279, 1995.
  14. Walton TR: The outcome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rom the prosthodontic perspective: proposal for a classification protocol. Int J. Prosthodont 11: 595-601, 1998.
  15. Choi SO: A study on pati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about dental impl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16. Teper G et al.: Representative marketing-oriented stydy on imlants in the Austran population. I. II. Clin Oral Implants Res. 14(5): 621-633, 634-642. 2003. https://doi.org/10.1034/j.1600-0501.2003.00916.x
  17.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Mosby, St.Louis, pp.3-7,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