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on on Quality of Childcare-center between Mothers and Directors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어머니와 보육시설장의 인식 비교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09.09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gnition of mothers and directors about the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of two groups. The subjects were 166 mothers and 178 directors in Gwanak-gu, Seocho-gu, Dongjak-gu in Seoul and Suweon-city, Anyang-city in Gyeonggi-do.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on the quality of childcare center developed by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in SPSS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evaluated that process area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llowed by service and structure area. Second, directors evaluated that process area was the most important area, followed by structure and service area. Third, directors evaluated overall quality of childcare center higher than mothers.

본 연구는 어머니와 보육시설장을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두 집단간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관악구, 서초구, 동작구와 경기도 수원시와 안양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시설장 178명과 해당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 166명이었다. 보육시설의 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보육시설 질 척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보육서비스의 질에 있어서 과정적인 질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서비스의 질, 구조적인 질의 순으로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였다. 둘째, 보육시설장은 보육서비스의 질에 있어서 과정적인 질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구조적인 질, 서비스의 질의 순으로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장이 어머니보다 전반적으로 자녀가 다니는 보육시설의 질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과정적인질, 구조적인 질, 서비스의 질의 세 가지 하위요인에 있어서 어머니와 보육시설장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아(1998). 탁아기관의 질과 영아의 탐색/놀이 행동과의 관계: 물리적 놀이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혜진(1996).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보육교사와의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명숙(2002). 보육서비스가 취업모의 보육시설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연진(2005).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 및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 23-44.
  5. 김인(2004). 시설 유형별 보육서비스 질 비교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4), 147-182.
  6. 민혜윤(2003). 기혼 취업여성의 보육실태와 직장보육시설 요구도 조사: 수도권내 3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영애(1989). 영아를 위한 시설의 현황과 부모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인전, 안옥희(1995). 보육시설의 질적 기준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대한가정학회지, 33(6), 43-59.
  9. 박희숙(2002). 영유아보육시설의 부모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백정현(2002). 18-24개월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어머니의 요구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보건복지부(2010). 2009 보육시설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12. 이완정(1999).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97-114.
  13. 이정아(2005). 여성공무원의 직장보육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임주희(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혜경(2001). 병원 취업모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은평구에 소재한 S병원 취업모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주혜영, 이대균(2001).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1), 21-40.
  17. 지성애(2007).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유아 발달과 시설의 질에 대한 부모의 관점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3-43.
  18. 채영란(2004).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및 인식 조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한유미, 권정윤(2005). 스웨덴과 한국 보육시설의 질과 어머니 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39-149.
  20. Arnett, J.(1989). Caregivers in day 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21. Bogat, A. G., & Gensheimer, L. K.(1986). Discrepancies between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parents choosing day care, Child Care Quarterly, 15, 159-169. https://doi.org/10.1007/BF01119671
  22. Burchinal, M. R., Roberts, J. E., Nabors, L. A., & Bryant, D. M.(1996). Quality of center child care and infant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7, 606-620. https://doi.org/10.2307/1131835
  23. Burchinal, M. R., Cryer, D., Clifford, R., & Howes, C.(2002). Caregiver training and classroom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6(1), 2-11.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601_01
  24. Clifford, B. M.(1997). Cost and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SA and the impact on childre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2), 281-302.
  25. Costin, L. B.(1974), Child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 Macgraw-Hill Co.
  26. Frede, E.(1995). The role of program quality in producing early childhood program benefits. Future of Children, 5(3), 115-132. https://doi.org/10.2307/1602370
  27. Friesen, L. V.(1995). The study of indicators of quality care for young children in day care. 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algary, Canada.
  28. Fuqua, R. W., & Labensohn, D.(1986). Parents as consumers of Child Care. Family Relations, 35, 295-303. https://doi.org/10.2307/583638
  29. Howes, C.(1983). Caregivers behavior in center and family day car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 99-107. https://doi.org/10.1016/0193-3973(83)90061-8
  30. Howes, C., & Hamilton, C. E.(1992).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Child Development, 63, 859-866. https://doi.org/10.2307/1131238
  31. Howes, C., & Olenick, M.(1986).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57, 202-216. https://doi.org/10.2307/1130652
  32. Howes, C., Philips, D. A., & Whitebook, M.(1992). Thresholds of quality implication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 449-460. https://doi.org/10.2307/1131491
  33. Munton, A. G., Mooney, A., & Rowland, L.(1995). Deconstructing quali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new paradigm in daycare provision for the under eight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4, 11-23. https://doi.org/10.1080/0300443951140102
  34. Scarr, S., & Eisenberg, M.(1993). Child care research: Issues, perspectives, and resul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 613-644. https://doi.org/10.1146/annurev.ps.44.020193.003145
  35. Shpancer, N., Bowden, J., Ferrell, M., Pavlik, S., Robinson, M., Schwind, J., Volpe, E., Williams, L., & Young, J.(2002). The gap: Parental knowledge about day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6), 635-642. https://doi.org/10.1080/03004430215108
  36. Sinder, M. M., & Fu, V. R.(1990). The effects of specialized education and job experi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69-78.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07-N
  37. Turner, P. H., & Smith, R. M.(1983). Single parents and day care. Family Relations, 32, 215-226. https://doi.org/10.2307/584680
  38. Vandel, D. L., Henderson, V. K., & Wilson, K. S.(1988).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with day care experiences of varying quality. Child Development, 1286-1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