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09.0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improve efficacy of child care, infant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infant teachers' sensitivity about demanding of infants by doing education of improving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infant teachers' sensitivity at the nursery cent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4 child-care teachers from Jungup city. They are divided into 22 teachers in experiment group and 22 teachers in control group. And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as either pre-test or post-test for evaluating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eachers' sensitivity. There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fficacy of child care, infant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experimental group members who participated in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to its control group members. Finally, we could prove the effect of program which was carried out to child care teachers on improving efficacy of child care, infant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2003). 교사 반응성 프로그램이 교사 및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춘희(1999). 영아보육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국공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혜석(2002).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희진.김언아.홍희란(2005). 영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매뉴얼. 서울: 창지사.
  5. 남궁선혜(2004). 보육의 질 고양을 위한 보육교사제도의 확립 방안. 영유아보육법개벙의 의미와 보육제도 발전방향, 19-31. 출처:2004년 전국보육(학)과 교수연합회 세미나 자료.
  6. 박은혜(2003). 유아교사론. 서울 : 창지사
  7. 박현정(2004). 교사-유아 상호작용 시작과 참여 유아의 기질 및 사회․정서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문희(2004). 가정보육시설 운영 내실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서문희.이옥.백화종.박지혜(2005). 2004년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 총괄보 고. 여성부
  10. 서원경(2004).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증진을 위한 야간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신은경(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 인식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혜련(2003). 영아의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 및 교사의 기질요인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경림(2005). 영아반교사의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반 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기영(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영.김미령(1995). 발달적 접근 방법에 의한 종일제 영유아 교육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16. 이영(1999). 올바른 교육은 요람에서부터: 발달에 적합한 영아프로그램. 삼성복지재단 제 7회 학술대회자료집, 미간행.
  17. 이영미(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은화.배소연.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 양서원.
  19. 이은해(1995).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의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20. 이정숙(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희경.김성수.이영훈, 유아교사역할척도(www. educlick. co. kr). 부천대 유아 교육 컨텐츠 개발연구소. 1998.
  22. 임재택(1989). 상호작용론적 유아교육프로그램. 서울:창지사
  23. 임주희(2006). 걸음마기 영아교사의 역할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영희(2000). 영아교육과정. 서울 : 양서원
  25. 정미숙(2007).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조남선(2002). 영아-교사간 애착안정성과 영아 상징놀이에서의 자기-타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중앙보육정보센터(2006). 상호작용. 서울 : 중앙보육정보센터.
  28. 최희양(2001).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한국여성개발원(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분석. 한국여성개발원.
  30.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 24권 6호. p120.
  31. Decker, c. A., & Decker, J. R(1976).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32.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3. Katz, L. G (1970). Teaching in preschools: Roles and goals. Children, 17(2), 42-48.
  34. McNairy, M. R. (1988). Multiple staffing and teacher actions: The effect of team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0(1-4), 1-15. https://doi.org/10.1080/0300443880300101
  35. Saracho, O. N(1984).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c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role analysi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erception International, 19(1), 26-39.
  36. Saracho, O. N., & Spodek, B.(1993).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89, 1-17. https://doi.org/10.1080/0300443930890101
  37. Spodek, B(1972). Staff requirem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 J. Gordon(Ed.), Early childhood education(pp.339-365). Chicago: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38. Spodek, B(1978). Teaching in the early years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39. Wittmer, D. S., & Petersen, S. H. (2006).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NJ: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