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the concepts and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by the body image and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성별과 신체상에 따른 체육개념 및 체육목표의 차이

  • Lee, Jeong-Heu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J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eo, Jae-Ha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oon-Suc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Byoung-D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Min-Haeng (Department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Daegu University) ;
  • Cho, Byung-Jun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정흔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이동진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서재하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이문숙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오병돈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 조민행 (대구대학교 스포츠레져학과) ;
  • 조병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levels of goals and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by the body image and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461 middle students randomly selected by a multistaged cluster sampling technique, 433 students(boys 267, girls 166) filled out questionnaires consisted of Figure Rating Scale and modified ones. To know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levels of goal and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by sex, t-test was utiliz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levels of goal and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by body image, ANOV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dow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boys had higher level of goal and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than girl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classified into normal body image was higher level of goal and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that other body images such as very thin, thin, very obese, and obese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focused on fragmentation of health, psychomotor, cognitive, affective, leisure, holistic human should make girls understand thoroughly and deeply goals and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and ideal body image.

이 연구는 중학생의 성별 및 신체상에 따른 체육목표 및 체육개념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하는 것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남학생 267명, 여학생 166명 등의 총 443명을 표집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Figure Rating Scale(FRS)과 체육목표 및 개념에 관한 설문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체육개념 및 목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신체상에 따른 체육개념 및 체육목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첫째, 중학생의 체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한 인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정상 체형의 중학생이 다른 체형의 중학생에 비해 체육개념과 목표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올바른 신체상과 건강한 체형을 형성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여학생에게도 체육개념과 체육목표를 경험으로서, 문화재생산으로서, 교과내용을 경험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개념의 범위와 계열 및 계획된 수업진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서울 : 한솔사, 2008.
  2. 권욱동, 김영환, 김창우, 박창희, 노은이, 체육목표 순위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 무용철학회지, 7(2), 181-201, 1999.
  3. 권혁기, 서비스 기업의 변혁적 리더십, 일몰입과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간의 관계,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1(B), 437-451, 2010.
  4. 김상태, 중등학교 체육목표 순위설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김용, 현대체육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1994.
  6. 김윤희, 체육교과 목표에 관한 학생의 인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2), 39-53, 2003.
  7. 김재복, 현행 교육과정의 분석․평가 연구. -제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1996.
  8. 김창권, 김동규, 중국 학교체육 목표의 변천과정과 전망, 한국체육학회지, 39(1), 89-96, 2000.
  9. 박민수, 제7차 교육과정의 체육목표 순위설정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0. 박범석, 이찬주, 교육목표로서 표현 개념의 교육과 정적 해석. 교육과정연구, 24(1), 41-60, 2006.
  11. 배영훈,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지속유형이 운동중 독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1, No. 5, 2785-2794, 2009.
  12. 손인석, 이인경, 일반체육목표와 특수체육목표 인식에 관한 문헌고찰. 특수체육연구, 4호, 67-81, 2007.
  13. 양한나, 일반학교 중등체육교사의 특수체육 목표인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5(5), 273-280, 2006.
  14. 이광섭, 안용규, 체육목표를 통한 체육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중학교 체육과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논문집, 20, 37-53, 1997.
  15. 이병관, 체육목표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도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901-912, 2003.
  16. 이영미, 아동의 체형지각과 신체상 지각에 따른 부정적 정서. 대한가정의학회지, 42(8), 133-145, 2004.
  17. 정동섭,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 6(B), 3221-3234, 2009.
  18. 채한승, 이종호. 윤영국, 남녀 고등학생의 체육목표 인지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1(2), 203-221, 2002.
  19. 최성욱, 교육과정 개념화의 대안적 접근. 교육학연구, 33(5), 193-216, 1995.
  20. Bhuiyan, A. R. Gustat, S. R., Srinivasan, & Berenson, G. S., Differences in body shape representations among young adults from a biracial (black-white). semirural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8, 792-797, 2003. https://doi.org/10.1093/aje/kwg218
  21. Bookwalter, K. W., Physical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Washington, D, C. Th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 1964.
  22. Cattarin, J. A., Thompson, J. K. Thomas, C., & Williams, R., Body image, mood, and televised images of attractiveness: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 220-239, 2000. https://doi.org/10.1521/jscp.2000.19.2.220
  23. Cho, M. H., The strength of motiv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during leisure time among youth in South Korea. Journal of Youth and Society, 35(4), 480-494, 2004. https://doi.org/10.1177/0044118X03258242
  24. Groesz, L., Levine, M. P., & Murnen, S. K., The effect of experimental presentation of thin media images on body satisfaction: A meta-analy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1, 1-16, 2002. https://doi.org/10.1002/eat.10005
  25. Levine, M. P. & Piran, N., The role of body image in the prevention of eating disorders. Body Image: 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1 57-70, 2004. https://doi.org/10.1016/S1740-1445(03)00006-8
  26. Nam, J. W., Cho, M. H., & Goo, K. B., The perceived constraints, motiv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South Korean youth. South African Journal for Research in Sport, , 31(1), 37-48, 2009.
  27. Stunkard, A. J., Sorenson, T., & Schlusinger, F., Use of the Danish adoption registers for the study of obesity and thinness. In s. S. Kety, L. P. Rowland, R. L. Sidman, & S. W. Matthysse (Eds.), The genetics of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pp. 115-120). New York: Raven Press,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