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or Custodial Grandparents' Life Stor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인생이야기와 손자녀 양육경험

  • 오경석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9.29
  • Accepted : 2010.12.0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poor custodial grandparents' life stor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8 grandparents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were used. They showed a miserable life from the birth and discriminative experience of the depriv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childhood nadir experiences. They showed the regret for their inability as youth/midlife low point and financial difficulty as old life nadir experiences. In terms of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they showed non-voluntary care-giving, anxiety for the generational continuation of hardship, and lack of familial assistance. Poor custodial grandparents also used family-centered value, community-based social assistance, and self-assurance through their sacrifice as their adjustment strategy. Several research themes such as the importance of basic trust in childhood, the experience of financial difficulti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social assistance, and self-assurance through their sacrifice were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인생이야기와 손자녀 양육경험을 살펴보았다. 8명이 연구대상자였으며,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이 연구방법으로 이용되었다.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인생이야기를 살펴본 결과 아동기의 경험으로는 시작부터 불행한 인생, 교육기회 박탈의 차별적 경험이 특징이었다. 청/중년기 경험의 두드러진 주제는 자신의 무능력에 대한 회한이었다. 노년기에는 경제적 어려움이 주요한 주제였다.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서 나타난 주제는 비자발적 양육책임, 고난의 대물림, 가족지지의 부재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생이야기와 손자녀 양육경험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는 가족 중심적 가치관,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지, 희생을 통한 자기 확인을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아동기 때의 기본적 신뢰감의 중요성, 경제적 어려움의 경험, 지역사회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자신의 희생을 통한 자기 확인을 후속 연구를 위한 주제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03).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31-144.
  2. 강유진, 한경혜(2002). 한국여성노인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이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3), 99-126.
  3. 권인수. (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4.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 153-170.
  5. 김오남.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6. 김유미, 김명희, 정여주.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복지연구, 38, 123-163.
  7. 김은주, 서영희. (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8.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9.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341-378.
  10. 박경애. (2007).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11.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12.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요인 - 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13. 서현. (2009).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3-27.
  14. 서혜석. (2005). P.E.T.를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27, 279-302.
  15. 서흥란, 김양호.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 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67-296.
  16. 송유미, 이윤형.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4.
  17.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 (2008). 농촌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손자녀에 대한 비용-보상적 가치관이 손자녀 양육 이후의 생활만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8(2), 145-178.
  18. 오경석. (2002). 노인의 생성감과 인생이야기. 한국노년학, 22(2), 113-129.
  19. 오경석. (2010).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1-21.
  20. 유민지, 이기숙. (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노년학, 21(3), 91-109.
  21. 이미숙. (2008). 국내 장애아 조부모 역할 증진에 대한 고찰. 중복.지체부자유 연구, 51(3), 143-166.
  22. 이미영. (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3-230.
  23.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24. 이영숙. (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25. 이영숙, 박화윤. (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26. 이현주. (2007a) 저소득 조손가족 아동의 성인아이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아동복지학, 23, 7-32.
  27. 이현주. (2007b). 조부모 대리양육 아동의 장기위탁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6), 53-72.
  28. 이현주. (2007c). 대리양육 위탁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정-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노인복지연구, 37, 361-392.
  29. 이화영. (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32, 327-355.
  30. 장희선, 김윤정.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0, 7-30.
  31. 정동하. (200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29-49.
  32. 최혜지. (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3), 641-655.
  33. 최혜지.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의 실태와 작용기제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122-149.
  34.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의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35. 한경혜, 주지현, 정다겸. (2009).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국가족복지학, 26, 87-122.
  36. Burton, L. M. (1992). Black grandparents rearing children of drug-addicted parents: Stressors, outcomes, and social service needs. The Gerontologist, 32(6), 744-751. https://doi.org/10.1093/geront/32.6.744
  37. Cohler, B. J. (1982). Personal narrative and the life course. In P. Baltes & O. G. Brim (Ed). Life 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4). New York: Academic Press.
  38. Dowdell, E. B. (2004). Grandmother caregivers and caregiver burden.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9(5), 299-304. https://doi.org/10.1097/00005721-200409000-00007
  39. Dowdell, E. B. & Sherwen, L. N. (1998).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cross-generation challenge to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4(5), 8-13.
  40.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41. Howard, G. S. (1991). Culture tales: A narrative approach to thinking,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46, 187-197. https://doi.org/10.1037/0003-066X.46.3.187
  42. Jendrek, M. P.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https://doi.org/10.1093/geront/34.2.206
  43. Kelly, S. J., Yorker, B. C. & Whitley, D. (2001). To grandmother's house we and stay: Children raised in intergenerational famil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 12-20.
  44. Kennedy, J. F. & Keeny, V. T. (1998). The extended family revisited: Grandparents rearing grandchildre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19, 26-35.
  45. Kenyon, G. M. (1996). The meaning/value of personal storytelling. In J. Birren, G. M. Kenyon, J. E. Ruth, J. J. Schroots, & T. Svensson (Ed). Aging and biography: Explorations in adult development. New York: Springer.
  46. Kenyon, G. M. & Randall, W. L. (1997). Restorying our lives: Personal growth through autobiographical reflection. Westport: Praeger.
  47. Kenyon, G. M., Clark, P., & de Vries, B. (Ed). (2001). Narrative geront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
  48. McAdams, D. P. (1988). Power, intimacy, and the life story: Personological inquires. New York: Guilford Press.
  49. McAdams, D. P. (1993). The stories we live by: Personal myths and the making of the self. New York: Morrow.
  50. McAdams, D. P. (1996a). Narrating the self in adulthood. In J. Birren, G. M. Kenyon, J. E. Ruth, J. J. Schroots, & T. Svensson (Ed). Aging and biography: Explorations in adult development. New York: Springer.
  51. McAdams, D. P. (1996b). Personality, modernity, and the storied self: A contemporary framework for studying persons. Psychological Inquiry, 7, 295-321.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704_1
  52. McAdams, D. P., Hart, H. M., & Maruma, S. (1998). The anatomy of generativity. In D. P. McAdams & E. de St. Aubin (Ed).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3. Neugarten, B. L. & Weinstein, K. K. (1964).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26(2), 199-204. https://doi.org/10.2307/349727
  54. Roithmayer, S. (2001). Emotional distress of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York.
  55. Schroots, J. J. F. & Birren, J. E. (2002). The study of lives in progress: Approaches to research on life stories. In G. D. Rowles & N. E. Schoenberg (Ed). Qualitative gerontology: A contemporary perspective (2nd ed.). New York: Springer.
  56. Smith, A. & Dannison, L. (2002). Education educators: Programming to support grandparent-headed families, Contemporary Education, 72, 4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