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내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가 과밀사육환경 하에서의 육계의 성장과 면역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Under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 in Broiler Chickens

  • 최형석 (국립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 김기현 (국립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 박상훈 (국립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 남인식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 황성구 (국립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 남기택 (국립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부)
  • 투고 : 2010.02.16
  • 심사 : 2010.04.28
  • 발행 : 2010.09.30

초록

본 시험은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가 과밀사육 환경에서의 육계 (Ross broiler)의 생산성 및 면역세포 중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계 수컷 240수를 저밀도 사육구와 고밀도 사육구로 나누어 각각 대조구와 처리구를 두었으며 저밀도 사육구는 pen 당 10수씩 고밀도 사육구는 pen당 30 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저밀도와 고밀도의 대조구 사료에 한방약제 추출물 0.23%(AP 0.2%+ DFP 0.03%)를 첨가 급여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사료섭취량은 저밀도 사육구에 비하여 고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p<0.05), 한방약제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사육밀도에 따른 평균 체중은 고밀도 사육구에서 저밀도 사육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저밀도와 고밀도 사육구 모두에서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밀사육에 의한 증체량 감소 및 사료섭취량 감소 현상은 생육 중기에 주로 나타난 결과 이며 후기에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요구율은 한방약제 첨가 처리구가 고밀도 사육구 및 저밀도 사육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두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면역세포증식은 비장세포 종식도, LPS로 자극시킨 B세포 증식도와 ConA로 자극시킨 T세포 증식도 모두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증식도를 나타내었다(p<0.05). 결과적으로 고밀도환경하에서 한방약제 추출물 급여에 따라 육계의 면역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며, 궁극적으로 육계의 질병예방 및 일부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oriental herb extracts (Alpha $Plus^{(R)}$ (AP)+Dried Foxglove Powder (DFP)) on growth performance an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broiler chicken raised under low or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s. A total of 240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composed of ten birds in low density stocking groups and thirty birds in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The four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Cl (low density without AP and DFP); T1 (low density with AP 0.2% and DFP 0.03%); C2 (high density without AP and DFP); T2 (high density with AP 0.2% and DFP 0.03%). The feed intake of the high density stock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ow density stocking groups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p<0.05). The body weight of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was lower than that of low density stocking groups (p<0.05). The decrease of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in growing stage (7~25day) under the high density stocking condition seems to be recovered in final stage (26~34day). Meanwhile dietary supplementation of AP+DFP in low and high density stocking groups tended to have higher daily body weight gain than control groups.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in treat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oriental herb extracts (AP+DFP)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eed additive resources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activity in broiler chicke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욱.김상호.유동조.강근호.김지혁.강환구.장병귀.나재천.서옥석.장인석.이규호. 2007. 식물 추출물, 한방 발효물, 유산균의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4(3): 187-196
  2.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 261-265
  3. 박상일.조성구. 1995. 당귀와시호의 가축 사료 첨가제 이용 연구. 농업산학협동 논문집 37: 15-31.
  4. 석종찬,임희석.백인기. 2003. 생약제제(미라클)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률, 영양속 이용률 분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5(5): 767-776.
  5. 손시환.장인석.문양수.김영주.이수희.고영현.강선영.강혜경. 2008. 가시오갈피와 두충의 첨가 급여가 브로일러의 생산 능력, 혈장 생화학 지표 및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5(3): 283-290.
  6. 안상욱,김영길.김민희.이환용.성낙술. 1999. 국내산 건지황과 숙지황의 생리황성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지 7(4): 257-262.
  7. 유동조.나재천.장병귀.이덕수.김상호.김지혁.강근호.강환구.서옥석.강희설. 2007. 혹서기 사육 밀도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4(2): 105-110
  8. 이능기.최승훈.안규석. 1997. 수(數) 종(種) 한약재가 생쥐의 골수 및 비장세포의 조혈 촉진과 방사선 방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종양학회지 3(1): 29-48.
  9. 조성구. 1995. 당귀 근부 첨가 사료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기 발육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2(3): 135-145.
  10. 조성구.김혜인.이민경.이정주.곽용철.이석천.이영. 2009. 항생제 대체 감초와 용규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체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6(3): 215-222.
  11. 최진호.김동욱.문영실.장동석. 1996. 한약재 부산물 투여가 돈육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1): 110.
  12. 최형석.남기택. 2004.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고 증체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의 사료용 약제. 특허 등록번호 10-0425591-0000.
  13. 한인규.백재환.루연선.여태현.이기웅.이진희. 1984. 생약제제의 첨가가 브로일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6(8): 677-681.
  14. 함문선.김성수.홍종수.이진하.정을권.박영식. 1996. 강원도산 참당귀와 일본산 일당귀의 생리 활성 성분 탐색. 한국미생물환경과학회지 24(5): 624-629.
  15. 홍종욱.김인호.김지훈.권오석.이상환.서완수.김철.김을상.정윤화. 2002. 비육돈에 있어 황기, 인삼, 양파 혼합물의 급여가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1): 149.
  16. Berczi, I., 1998. The stress concept and neuroimmunoregulation in modern biology. Ann. N. Y. Acad. Sci. 851: 3-12.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8.tb08969.x
  17. Chen, H. L., D. F. Li, B. Y. Chiang, L. M. Gong, J. G. Dai, and G. F. Yi. 2003. Effect of Chinese herbal polysaccharides on the immunity and growth performance of young broilers. Poultry Sci. 82: 364-370. https://doi.org/10.1093/ps/82.3.364
  18. Cho, M. K., S. Y. Choe, S. M. Hong, and B. S. Kim. 1998. Effects of scoparone on liver function. J Kkorean Soc Food Sci Nutr. 2792: 344-349.
  19. Dantzer, R., 1997. Stress and immunity: what have we learned from psychoneuroimmunology. Acta Phsiol. Scand. Suppl. 640: 43-46.
  20. Deaton, J. W., F. N. Reece, and T. H. Vardaman, 1968.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density on broiler performance. Poultry Sci. 47: 293-300. https://doi.org/10.3382/ps.0470293
  21. Dohms, J. E. and A. Metz. 1991. Stress-mechanism of immunosuppression. Vet. Immunol. Immunopathol. 30: 89-109. https://doi.org/10.1016/0165-2427(91)90011-Z
  22. Duncan, G. D.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 11: 1-4. https://doi.org/10.2307/3001478
  23. Gebert S., R. Messikommer, and C. Wenk. 1999. Chinesische krauter im Ferkelfutter. In; Gesusde Nutztiere: Umdenken in der Tierernahrung (Suter, F. Keruzer, M. and Wenk, C., ed). 163.
  24. Glaser, R., Kiecolt-Glaser, J. K., Malarkey, W. B., Sheridan, J. F., 1998.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tress on the immune response to vaccines. Ann. N. Y. Acad. Sci. 840: 649-655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8.tb09603.x
  25. Hemandez, F., J. Madrid, V. Garcia, J. Orengo, and M. D. Megjas. 2004. Influence of two plant extracts on broilers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organ size. poult Sci. 83: 169-174. https://doi.org/10.1093/ps/83.2.169
  26. Jamroz, D. and C. Kamel. 2002. Plant extracts enhance broiler performance. J Anim Sci. 80 (suppl 1): 4.
  27. Jenkins, M. K. and R. H. Schwartz. 1987. Antigen presentation by chemically modified splenocytes induces antigen-specific T cell unresponsiveness in vitro and in vivo.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65: 302-319. https://doi.org/10.1084/jem.165.2.302
  28. Lee, J. H., W. S. Ko, Y. H. Kim, H. S. Kang, H. D. Kim, and B. T. Choi. 2001.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aqueous tract from Lonicera japonica flower is related to inhibition of NF-kappa B activation through reducing I-kappa B alpha degradation in rat liver. Int J Mol Med. 7(1): 79-83.
  29. Magnusson, U., E. Wattrang, V. Tsuma, and C. Fossum, 1998. Effects of stress resulting from short-term restraint on in vitro functional capacity of leukocytes obtained from pigs. Am. J. Vet. Res. 59: 421-425.
  30. Ravindran, V. and E. T. Kornegay. 1993. Acidification of weaning pig diets: A review. J. Sci. Food Agi. 62: 313-322. https://doi.org/10.1002/jsfa.2740620402
  31. Shanawany, M. M. 1988. Broiler performance under high stocking densities. Br. Poultry Sci. 29: 43-52. https://doi.org/10.1080/00071668808417025
  32. Sheridan, J. F., C. Dobbs, J. Jung, X. Chu, A. Konstantinos, D. Padgett, and R. Glaser. 1998. Stress-induced neuroendocrine modulation of viral pathogenesis and immunity. Ann. N. Y. Acad. Sci. 840: 803-808.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8.tb09618.x
  33. Ushid K., M. Maekawa, and T. Arakawa. 2002.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herb extracts on wolatile sulfur production in pig large intestine. J. Nutr. Sci. Vitam. 48(1): 18. https://doi.org/10.3177/jnsv.48.18
  34. Wang, R. J., D. F. Li, and S. Boume. 1998. Can 2000 years of herbal medicine history help us solve problems in the year 2000.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proceedings of Alltech's 14th Annual symposium. 273-291.
  35. Wenk, C. and R. Messikommer. 2002. Tumeric (curcuma longa) als Futterzusatzstoff bei Legehennen. In: Optimale Ntzung der Futterressourcen im Zusammenspiel von Berg-und Talgebiet. Ein Beitragzum Intrnationalen Jahr der Berge, Schriftenreiheaus dem Institut fur Nutztierwissenschaften (Ed. M. kreuzer, C. Wenk and T. Lanzini). 23: 121.
  36. Xie, I. O. and S. Q. Niu. 1996. Comprehensive book of natural resources and Chinese herb feed additives. Xueyua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