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ll-up experiences of ex-participants of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during first 2 years in Company

산학연계(기업.공고)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근로자의 취업 후 초기 2년간 습숙경험

  • Lim, Se-Yung (Korea Univ.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Choi, Hyun-Sook (HR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Univ.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Choi, Kyu-Young (HR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Univ.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임세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 최현숙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연구소) ;
  • 최규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연구소)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9.1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understand the skill-up experiences of ex-participants of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 in Technical High Schools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during first 2 years in Company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with 3 purposefully selected ex-participants. Their core skill-up experience in this period was assumed as the shift from' dependent worker' to 'independent worker' on the base of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 1.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offered a few formal training for newcomers, production-site orientation through short job rotation, linking them with skilled workers and job manuals or job standards. 2. Authentic skill-up experiences were combined with a structured reprimand, peer learning, deep learning through reflection on one's own experiences. 3. There were a few handicap conditions that disturbed their skill-up activities: the skilled worker don't open their skill toward new corner; the ex-participants in company had no time to learn anything meaningful to up-grade their competency.

이 연구는 산학(기업 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이하 '맞춤과정')을 수료하고 입직하여 2년 정도 근무한 수료근로자 3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취업 후 습숙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는 2008년 선행된 경력설계 연구를 기반으로 초기습숙의 과정을 의존적 근로자에서 독립적 근로자로 이행하는 단계로 보고, 맞춤과정 수료근로자가 현장에 배치된 이후 약 2년간 어떤 습숙경험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면담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신입자의 습숙을 돕기 위해 실시하는 안내 및 교육으로서는 회사의 역사 및 현황, 근무수칙, 안전 등을 담은 신입사원 교육, 여러 작업 실무현장의 '맛 보이기', 사수-조수관계 맺어주기, 매뉴얼 및 직무기준 제시 등이었다. 이는 '통과의례' 같은 것으로서 습숙의 기본적인 디딤돌이 된다. 둘째, 습숙을 이끌어가는 상호작용과 자기성찰로서 구조화되어 있는 질책, 구성원간 유대, 경험의 누적과 성찰을 통한 깊은 학습 등이 있었다. 공식적 조치에 의해 안면을 익힌 신입자는 선임자의 질책을 받으며 상당기간(1-2년) 험난한 인고의 과정을 거쳐 질책을 받지 않고 스스로 일을 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른다. 수직적 위계질서보다 수평적 유대가 강조되는 조직에서는 쉽게 경험을 공유한다. 그리고 제보자는 자신의 경험을 돌아보아 적응하기, 조직에서 살아남기, 발견한 기술을 함께 공유하고 성장하기와 같은 것을 학습하였다. 셋째, 습숙에 장애가 되는 환경 여건으로는 신입자의 습숙에 대한 숙련자의 경계, 장시간 근로와 여유시간의 결핍, 저임금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숙련자들은 신입자에게 경계의식을 갖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암묵지를 노출시키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평적 유대가 강조되는 조직에서는 서로 쉽게 기술을 공유한다. 단순 기술과 저임금의 기업특수기술도 습숙동기를 유발하지 못한다. 연구결과는 맞춤과정 개발시 협약기업이 제시하는 직무뿐 아니라 그 직무수행자들을 위한 습숙지원제도 및 과정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반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장호(1998). 숙련형성과 생산방식 : 한국, 일본, 미국의 비교연구. 노동경제논집, 21(1), 한국노동경제학회.
  2. 김종한(1993). 한국 생산직노동자의 숙련형성 유형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종한(1996). 한국 생산직 노동자의 숙련형성 내부화 정도. 사회경제평론, 9, 한국사회경제학회.
  4. 김흥국(2000). 경력개발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산출판사.
  5. 남기곤(1994). 독점부분과 비독점부문간 숙련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17(1), 한국노동경제학회.
  6. 박경곤(2001). 호텍조리사의 숙련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조리전공 졸업생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4(2), 한국외식경영학회.
  7. 박경곤(2005). 조리숙련형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박기성(1994). 숙련 인력의 형성과 활용. 한국노동연구원.
  9. 박기성(1993). 기업 내의 관행이 숙련형성에 미치는 효과. 경제학연구, 41(1), 한국경제학회.
  10. 윤석천(1997). 한국 제조업부문의 숙련형성과 노동이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1. 이병욱, 류병구(2008). 기업.공공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 참여공고 및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72-96
  12. 이용숙, 김영천 편(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 교육과학사.
  13. 이지연, 고혜원, 정운경(2007). 제조업분야 전문기능보유자의 경력경로분석 및 경력개발모델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이지혜(2000). 성인학습자의 성장과정연구: 미웅인의 직업발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임세영, 최현숙(2008). 기업.공공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의 근로여건과 경력설계 실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44-71.
  16. 중소기업청(2006). 기업.공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관계규정집. 중소기업청.2006.10
  17. 최규영(2008). 중소기업 현장 기능공의 입직 초기 숙련형성문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최홍영(2003). 기계설계 기술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차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Bateson, G.(1972). Steps to an Ecology of Mind. San Fransisco: Chandler Publishing Co.
  20. Dalton, G. W, Thompson, P. H. & Price, R. L.(1977). The four stages of professional career : A new look at preformance by professioal Organization Dynamics. New york :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Summer
  21. Merriam, S. B., (1997).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sisco : Jossey-Bass ; Rev Sub edition
  22. Janice M . Morse, Peggy Anne Field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s Chapman & Hall; 질적간호연구방법, 신경림 역) 1997,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3. Jennifer Mason. (1996). 질적연구방법론. 김두섭 역) 1999, 나남 출판.
  24. Schein, E. H (1978), Career Dynamics : Match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Need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5. Walcott, H. F. (2008), Writing Up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 Sage Publications, 3rd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