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book Analysis about Length Estimation and Exploration for an Alternatives

길이 어림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및 대안 모색

  • Received : 2010.07.21
  • Accepted : 2010.09.1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s for estimation ability improvement in length, which is recently emphasized in measurement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preceding studies, students' length estimation ability is considerably low. Revision curriculum tried to pursue estimation and feeling of massiveness responsive to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But, Such efforts are not reflected in textbooks and they are rather weak in the aspect of estimation and feeling of massiveness.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related to length estimation in current textbooks critically and explores an alternatives. This paper is suggestive for textbook development to improve ability to estimate length.

이 논문은 물리량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길이에 대해, 최근 수학교육에서 측정 영역과 관련하여 가장 강조되고 있는 어림 능력의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기초학력 진단평가와 몇몇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의 어림 능력이 상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정 교육과정은 세계적인 동향에 맞추어 어림과 양감 형성을 추구하고자 시도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이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어림 및 양감 형성이라는 측면이 상당히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길이 어림과 관련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생각해봄으로써 차후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춘천교육대학교

References

  1. 고정화․최익준 (2008). 2007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기초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8-5-4.
  2. 공정선 (2002).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단위에 대한 아동들의 이해도.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1-1.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2-1.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2-2.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과학기술부 (2010). 수학 3-1. 교육과학기술부.
  8. 구혜현 (2009). 수학과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김명옥․권성룡 (2009).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활동이 어림측정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3), 329-352.
  10. 김선희․박미영 (2006). 2005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기초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6-3-4.
  11. 김선희․김경리 (2007). 2006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기초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7-3-4.
  12. 김수환․박성택․신준식․이대현․이의원․이종영․임문규․정은실 (2009).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 동명사.
  13. 김재현 (1999). 어림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벤치마크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김춘호 (2009). 초등학교 과학 교과와 수학 교과 간 탐구과정의 연계성에 관한 고찰,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김홍구 (1999). 수학교실에서 양감 육성을 위한 지도 방안의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박경난 (2002). 협동에 의한 측정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승주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박양춘 (2008). 길이 어림 측정 전략 지도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박인근 (2006). 도량형기의 가정 보유 현황과 학생의 어림 능력 조사. 과학교육연구논총, 22(1), 49-55.
  20. 서정아․정희경․정용재 (2000).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1.
  21. 서정아․조광희․박승재 (2003). 중학생의 물리량에 대한 차수 어림 능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29-238.
  22. 송진웅․김혜선 (2001). 기본물리량 어림의 정확성 및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76-88.
  23. 신인선․권점례 (2002). 학교 수학에서 어림 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3, 1-18.
  24. 염연희 (2005).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길이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측정능력과 수학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유영의․박현정 (2008). 탐구활동에 기초한 측정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55, 97-117.
  26. 이경화․강완 (2008). 길이재기 단원의 여정: 수학 교과서 개발과정.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8(2), 157-177.
  27. 이상호 (2006). 실측활동을 통한 학습이 단위개념과 양감형성에 미치는 효과,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조영미․박미영 (2005). 2004년 초등학교 3학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연구 ­기초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5-2-4.
  29. 주영희․김성준 (2009). 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 연구, 13(4), 717-736.
  30. Joram, E., Gabriele, A. J., Bertheau, M., Gelman, R. & Subrahmanyam, K. (2005). Children's Use of the Reference Point Strategy for Measurement Estim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6(1), 4-23
  31. Joram, E. (2003). Benchmarks as Tools for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D., Clements & G., Bright (Ed.),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Yearbook.
  32. Levin, D. R .(1982). Strategy use and estim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5), 350-359. https://doi.org/10.2307/749010
  33. Van den Heuvel-Panhuizen, M. & Buys, K. (Eds.) (2008). Young children learn measurement and geometry. Tapei: Sense Publishers.
  34. Muir, T. (2005). When Near Enough Is Good Enough: 8 Principles for Enhancing the Value of Measurement Estimation Experiences for Students.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0(2), 9-14.
  35.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6. NCTM (2000). Principal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7. Reys, R. E. (1992). Research on computational estimation: What tells us and some ques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Hiroshima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1, 105-112.
  38. Siegel, A. W., Goldsmith, L. T. & Madson, C. R. (1982). Skill in estimation problems of extent and numerac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3), 211-232. https://doi.org/10.2307/748557
  39. http://illuminations.nct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