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단신자와 장신자의 부모 키와 생활습관 비교

Comparison of Parent's Height and Life Style between Short and Tall Stature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투고 : 2010.11.01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01

초록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major parent's height and life style between short and tall stature groups of students attending the elementary schoo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5 to 24, November 2007 at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the five elementary schools. Two group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guideline titled 'Growth Standard for Infants and Juveniles in 2007': Tall group of 232 students whose height was greater than 75 percentile and short group of 227 students was less than 25 percentile. Results: The average height was 137.9 cm for short group and 155.3 cm for tall group. The results of the logistic analysis implied that parent's height was related with odds ratio equal to 1.141 for father's height and 1.145 for mother height. Analysis of the eating hab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two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There is the necessity for guidance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about the proper life 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영진 (2004).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이 건강생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김도수 (2005). 운동유형이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성장 관련인자와 생화학적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3. 김미진, 노영일, 양은석, 문경래, 박상기, 박영봉, 김은영 (2004). 소아의 키에 대한 인식과 우울 성향과의 관계. 소아과, 47(3), 258-263.
  4. 김선응, 김기학, 이청무, 최태희, 정일규, 김기진, 최종인, 강영수, 양점홍, 최종환, 구광수, 박태섭 (2007). 발육발달학. 서울; 대한미디어.
  5. 김은경 (2003).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식습관 및 기호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 지역 일부 초등학교를 중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준태 (2003). 신장차이에 따른 여고생의 초경시기와 성장단계별 체격 및 체력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7. 김진관, 신철, 이창규, 이승관 (2001).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 있어서 야간 수면 중의 성장 호르몬, 코티졸 분비의 남.여 차이에 관한 연구. 보건과학논집, 27(1), 49-59
  8. 변화봉, 권윤현, 이태용 (2001). 대전 지역 일부 청소년의 식생활습관과 체격과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4(2), 279-288.
  9. 안지연 (2007).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측정 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0. 엄경일 (2007). 도시 지역 초․중학생들의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의 상관.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춘천.
  11. 웰빙소사이어티(2004). 제1차 성장검진연구보고서. http://www.wellness.or.kr
  12. 유경희 (2004). 청소년기 아동의 수면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향의대논문집, 10(3), 2025-2030.
  13. 유승희 (1999). 초등학생의 골격성숙도와 성인 시 신장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8(4), 665-677.
  14. 이원덕, 유재욱, 이준화, 이주석, 조경래 (2008).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키에 대한 인식 연구. 소아과, 51(3), 248-255.
  15. 전미숙 (2003).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16. 정선형 (2005). 중학생 건강형태와 체격수준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17. 질병관리본부 (2007). 소아청소년성장곡선 (신체발육표준치). http://www.cdc.go.kr/kcdchome
  18. 황금희, 정난희, 유맹자 (2001). 광주 지역 일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량 및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4), 293-299.
  19. 황인정 (2006).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도, 식이 자기효능감 및 영양소 섭취 상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 Buzi, F., Zanotti, P., Tiberti, M., Monteleone, A., & Lombardi, A. (1993). Overnight growth hormone secretion in short children: Independence of sleep pattern. J Clin Endocrinol Metab, 77, 1495-1499. https://doi.org/10.1210/jc.77.6.1495
  21. Cappa, M., Bizzarri, C., Martinez, C., Porzio, O., Giannone, G., Turchetta, A., & Calzolari, A. (2000). Neuroregulation of growth hormone during exercise in children. Int J Sport Med, 21, 125-128. https://doi.org/10.1055/s-2000-8503
  22. Hockenberry, M. J. (2004).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New York: Elsevier.
  23. Hulanicka, B., Gronkiewicz, L., & Koniarek, J. (2001). Effect of familial distress on growth and maturation of girls: A longitudinal study. Am J Human Biol, 13(6), 771-776. https://doi.org/10.1002/ajhb.1123
  24. Rogol, A. D., Clark, P. A., & Roemmich, J. N. (2000). Growth and pubertal develop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ffects of diet and physical activity. Am J Clin Nutr, 72(2), 521-528.
  25. Rose, S. R., Municchi, G., Barnes, K. M., Kamp, G. A., Uriarte, M. M., Ross, J. L., Cassorla, F., & Cutler, G. B. J. (1991). Spontaneous growth hormone secretion increases during puberty in normal girls and boys. J Clin Endocrinol Metab, 73, 428-435. https://doi.org/10.1210/jcem-73-2-428
  26. Wideman, L., Weltman, J. Y., Shah, N., Story, S., & Veldhuis, J. D. (1999). Effects of gender on exercise induced growth hormone release. Eur J Appl Physiol, 87 (3), 1154-1162.
  27. Wilson, J, D., & Foster, D. W. (1992). Willian's Textbook of Endocrinology, 8th Ed, Philadelphia: Sau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