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Han River

기후변화와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한강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

  • Kim, Byung-Sik (Water Resources Research Div.,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Soo-Jun (Dept. of Civil Engrg., Inha Univ.) ;
  • Kim, Hung-Soo (Dept. of Civil Engrg., Inha Univ.) ;
  • Jun, Hwan-Don (School of Civi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수전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형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전환돈 (서울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As climate changes and abnormal climates have drawn research interest recently, many countries utilize the GCM, which is based on SRES suggested by IPCC, to obtain more accurate forecast for future climate changes. Especially, many research attempts have been made to simulate localize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RCM with the high resolution data globally. To evaluate the impacts of climate and land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Han-river basin, we carried out the procedure consisting of the CA-Markov Chain, the Multi-Regression equation using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temperature and rainfall, the downscaling technique based on the RegCM3 RCM, and SLURP. From the CA-Markov Chain, the future landuse change is forecasted and the future NDVI is predicted by the Multi-Regression equation. Also, RegCM3 RCM 50 sets were generated by the downscaling technique based on the RegCM3 RCM provided by KMA. With them, 90 year runoff scenarios whose period is from 2001 to 2090 are simulated for the Han-river basin by SLURP. Finally, the 90-year simulated monthly runoffs a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monthly runoffs for each dam in the basin. At Paldang dam, the runoffs in September show higher increase than the ones in August which is due to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in future. Additionally, after exploring the impact of the climate change on the structure of water circulation, we find that water management will become more difficult by the changes in the water circulation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evaporation, transpiration, and runoff in the Han-river basin.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미래 기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IPCC 권장 시나리오인 SRES (Special Report in Emission Scenario)기반의 GCM(General Circulation Model)과 RCM(Regional Circulation Model)을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고해상도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국부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RCM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미래 한강 유역의 수자원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CA-Markov Chain기법으로부터 토지이용변화를 추정하였으며 기온과 강수자료을 독립변수로 이용한 다중 회귀식으로부터 미래 NDVI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egCM3 지역지후모형으로부터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RegCM3 RCM 50 set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SLURP 모형에 입력하여 2001년부터 2090년까지 총 90년에 대한 한강 유역의 미래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예측된 미래의 유출사상을 기반으로 각 댐별 과거와 미래 유출량을 월별로 비교하고 이들의 유황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모의 지점으로 선택한 팔당댐에서 월단위 유출 모의 결과 8월 보다는 9월 유출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미래 강우 패턴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기후변화가 물 순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한강유역은 물 순환 요소(강수량, 증발량, 증산량, 유출량)의 변화에 의하여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1997). 기존댐 용수공급능력조사(한강수계).
  2. 국토해양부(2009). 기후변화대비 국가 물안보 확보방안(2차년도).
  3. 과학기술부(2007).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 구축.
  4. 권현한, 김병식, 김보경(2008).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Regional Climate Model 강수계열의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B호, pp. 525-533
  5. 권현한, 김병식(2009). “일강수량 모의를 위한 비정상성 Markov Chain Model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in review.
  6. 권형중, 임혁진, 김성준(2007).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농촌용수구역 단위의 가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1호, pp. 22-34.
  7. 김병식, 서병하, 김형수, 김남원(2003). “SLURP모형을 이용한 하천유출량 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B호, pp. 289-303.
  8.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2004). “SLUPR 모형의 증발산 모형에 대한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45-758.
  9. 김병식(2005).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요소 및 수자원 영향평가,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보경, 김병식, 권현한(2009). “준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가 안성천 유역의 유출모의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1B호, pp. 11-22.
  11. 김성준, 정인균(2006). “셀룰라 오토마타와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한국관개배수, 제13권, 제1호, pp. 110-117.
  12. 박민지, 박근애, 김성준(2007). “농업용 저수지 운영을 고려한 SLURP모형의 수문학적 거동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15-523.
  13. 세계일보(2007.08.12/이진경) 기후변화로 여름철 강우패턴 변해... 국지성 호우 증가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
  14. 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WAMIS) http://www.wamis.go.kr/
  15. 안소라,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2008). “미래토지이용 및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8 (2B), pp. 215-224.
  16. 정재준, 한동엽, 김용일, 이재원(2001).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수도권의 도시성장 예측”.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9권, 제3호, pp. 34-48.
  17. 한국수자원공사(2002). 한국의 댐.
  18. Garbrecht, J., and Martz, L.W. (1993). “Network and subwatershed parameters extrac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The Bill's Creek experience”. Water Resources Bulletin, 29 (6), pp. 909-916.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3.tb03251.x
  19. Hamlet, A.F., Lettenmaier, D.P., and Snover, A. (2003). “Climate change streamflow scenarios for critical period water planning studies : A technical methodology”.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in press.
  20. IPCC(2001). Climate Change 2001 :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Ⅰ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ughton et a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1. Kunkel, K.E., Andsager K., and Easterling, D.R. (1999b). “Long-term trends in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Journal of Climate, 12, pp. 2515-2527. https://doi.org/10.1175/1520-0442(1999)012<2515:LTTIEP>2.0.CO;2
  22. Kite, G.W. (1995) Scaling of input data for macroscale hydrologic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11, pp. 2769-2781. https://doi.org/10.1029/95WR02102
  23. Kite, G.W. (2007). Manual for the SLURP Hydrologic Model version 12.7.
  24. Kim, Byung Sik, Kim, Hung Soo, and Seoh, Byung Ha (2007). “Impa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Yongdam Dam Basin, Korea”. Stoch Environ Res Ris Assess, Vol. 21, pp. 355-373. https://doi.org/10.1007/s00477-006-0070-5
  25. Lacroix, M. and Martz, L.W. (1998)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rrain Analysis Modelling Techniques for the Parameterization of a Hydrological Model in the Wolf Creek Research Basin, Wolf Creek Research Basin: Hydrology, Ecology, Environment, pp. 79
  26. Martz, L.W., and Garbrecht, J. (1999). “Automated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 and watershed data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Bulletin, v29 i6, 901-908.
  27. Wood, A. W., Maurer, E. P., Kumar, A., and Lettenmaier, D. P. (2002). “Long-range experimental hydrologic forecasting for the eastern United States”. J. Geophys. Res.-Atmos., 107, 4429, doi:10.1029/2001JD000659

Cited by

  1.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droughts in the upper Namhan River basin, Korea vol.19, pp.2, 2015, https://doi.org/10.1007/s12205-015-0446-5
  2. Design Flood Estimation in the Hwangguji River Watershed under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Scenario vol.58, pp.1, 2016, https://doi.org/10.5389/KSAE.2016.58.1.039
  3.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RCPs Scenario Data : A Case Study of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Korea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4.1125
  4. Coping with Climage Change through Coordinated Operations of the Andong & Imha Dams vol.46, pp.12,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12.1141
  5.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Future Design Rainfall from Non-stationar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Separation Method vol.48, pp.6,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6.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