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oaches to Studying Low Birth Rate in Korea: A Critical Review

우리나라 저출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Na, Yu-Mi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 Kim, Mi-Ky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Received : 2010.06.29
  • Accepted : 2010.08.16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was dedicated to searching better course of low birth rate study in Korea by carefully analyzing past and present low birth rate researches. For this 179 studies(101 master thesis and 78 journal articles) from 1991 to 2009 were analyzed. Next, using SPSS Win 12.0, the research type, topic,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and method of data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studies' years of publication. The most frequently applied research approach, topic,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on procedure and data analysis method in the research was found to be a literature study, solution and prevention of low birth rate related policy, literature study, literacy analysis. In conclusion, low birth rate studies should become more diversified in terms of types of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analysis. Additionally, research topics should become more realistic and specified. Moreover, research results should be verified before they are applied to the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숙, 변미희, 정은미. (2005).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저출산 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0(3), 127-145.
  2. 강복화. (2003). 저출산에 따른 보육정책의 발전 방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선식. (2009). 저출산 시대의 한국의 보육정책 방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형례. (2009). 가임 연령 미혼남녀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혜진. (2009). 한국 기혼여성의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남희. (2006). 사회 현상을 통한 학교 수학의 지도-저출산, 고령사회 관련 교수학습의 구체적 방안-. 사회과학논총, 22, 35-56.
  7. 김도성. (2009). 출산의도의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의 출산장려정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도영. (2009). 육아지원정책이 자녀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미숙. (2009). 정부 출산장려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연. (2004).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인구복지정책.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승권. (2004).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회지, 27(2), 1-34.
  12. 김영순. (2009). 출산장려를 위한 정책방향.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오현. (2007). 유배우 가임여성의 출산장려금에 대한 인식과 출산의도와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윤성. (2007). 임산부의 재출산 의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인춘. (2008). 한국의 저출산 현상과 성평등: 인구정책과 여성정책의 연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6(1), 312-345.
  16. 김정례. (2005). 우리나라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정숙. (2006).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옥. (2005). 저출산, 고령화 시대의 가족정책의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논총, 4, 75-87.
  19. 김중식. (2006). 영아전담어린이집 이용 기혼모의 재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지영. (2006). 유아 수학평가 도구를 사용한 수학 연구의 동향 분석: 1981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233-252.
  21. 김학준. (2008). 저출산시대 도시지역 학생수용계획의 전략: 인천광역시 연수구 지역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향숙. (2008). 출산장려정책의 여성주의적 접근: 1990 년대 이후 출산여성의 경험사례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형준. (2008). 한국과 프랑스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부모권과 노동권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23(1), 111-134.
  24. 김혜원. (2007). 우리나라의 저출산 대응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혜환. (2008). 저출산 시대의 가족가치관 경향: 중등학생과 미혼남녀(20-29세) 실태조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김홍배. (2008). 여성의 출산율 결정요인과 출산장려정책의 방향. 한국지역학회지, 24(11), 23-37.
  27. 나진구. (2009). 저출산에 따른 보육정책의 발전방향.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남기동. (2005). 저출산 원인과 보육 및 육아지원 정책의 방향. 복지행정연구, 21, 315-337.
  29. 마미정. (2008).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치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박길진. (2008).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이 양육부담과 출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박명선. (2005). 출산.육아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여성취업 활성화 관점에서. 서울시립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박바름. (2003). 스웨덴 모성보호정책의 특성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박은미. (2007). 저출산 실태분석과 정책과제. 복지행정연구, 23, 317-335.
  34. 박은영. (2007). 초임부와 배우자의 재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박진영. (2008). 저출산가계의 재무구조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679-692. https://doi.org/10.5934/KJHE.2008.17.4.679
  36. 박화숙. (2006). 보육서비스 발전방향 연구(저출산 문제에 대한 대책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박희수. (2009). 정부 출산장려정책과 재출산 의도에 대한 연구: 보육시설 이용 여성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배민환. (2007).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 및 출산 장려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백선희. (2004). 사회적 위기,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 월간 복지동향, 74, 40-43.
  40. 백정현. (2005). 저출산 사회 극복을 위한 복지정책 개선 방안-196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1(16), 81-108.
  41. 서상록. (2009).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서신수. (2007). 출산력 영향요인과 차별출산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서지희. (2005). 자녀 양육비용에 관한 실태조사: 12개월에서 36개월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선민정. (2009).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관련법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손홍숙. (2005). 저출산과 가족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1), 43-63.
  46. 송정희. (2007). 저출산의 원인분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신은숙. (2005). 제도적 모성에 대한 갈등과 협상으로서의 저출산.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신효영. (2008).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 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4), 205-227.
  49. 신효영. (2009).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치관과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안정인. (2006). 일본의 엔젤플랜 고찰을 통한 한국의 보육정책 방향 탐색.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양옥승. (1997). 유아교육연구방법. 서울: 양서원.
  52. 오순희. (2006). 저출산 요인과 출산장려를 위한 보육정책의 발전과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오정균. (2007). 우리나라 출산장려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원숙연. (2005). 일-가정 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와 현실-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지, 14(2), 157-189.
  55. 위점애. (2007). 우리나라 저출산 요인 분석 및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유계숙. (2009).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69-189.
  57. 유삼현. (2007). 지역의 차별출산력 분석을 통한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유수경, 황해익. (2007). 유아교육연구에 나타난 질적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27(2), 295-321.
  59. 유영학. (2004). 저출산 대응 인구정책 추진방향.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 117-129.
  60. 유창호. (2006). 우리나라 저출산의 지역별 현황과 그 대책: 외국과의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1. 윤옥화. (2004). 한국의 저출산 현황과 출산장려방안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2. 윤인경, 남상준, 차우규, 조병은, 신효식, 권리라. (2007).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학교 교육의 목표 및 교육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6(2), 89-104.
  63. 윤종훈. (2006). 저출산․고령화 대책 재원 마련에 대한 방안. 월간복지동향, 95, 44-48.
  64.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신의진. (2009). 저출산에 대한 여대생의 인식 및 심리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93-108.
  65. 이동환. (2005). 저출산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8, 83-89.
  66. 이문옥. (2006). 저출산을 대비한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이미란. (2008). 출산행태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 거주 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8. 이삼식, 박종서, 장보현 (2008). 지방자치단체 저출산 대응 인구정책 컨설팅 등 지원모형 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9. 이삼식, 최효진, 오영희, 서문희, 박세경, 도세록(2009).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0. 이선주, 박선영, 김은정. (2007). 주요국가의 아동수당제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23(4), 167-192.
  71. 이수진. (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노동정책연구, 5(1), 131-156.
  72. 이숙희. (2006). 저출산 시대가 요구하는 보육교사 양성 과정에 대한 전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46
  73. 이연주. (2008).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이윤희. (2006). 사회적 제요인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이은민. (2009). 저출산 대책에 관한 연구: 맞벌이 부부지원정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 이인숙. (2005). 저출산의 요인분석과 사회복지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57(4), 67-90.
  77. 이재경. (2005). 유럽의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한국여성학, 21(3), 133-166.
  78. 이정미. (2005).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이진. (2008).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과 저출산 현상에 관한 연구: 여성 노동의 비정규직화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0. 이현승, 김현진. (2003). 늙어가는 대한민국: 저출산 고령화의 시한폭탄.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81. 이효정, 노희연, 김성숙. (2007).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1996-2006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0, 205-227.
  82. 장진경. (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 43(11), 165-183.
  83. 장혜경. (2004). 저출산 시대의 여성정책 방향. 젠더리뷰, 5, 50-54.
  84. 장혜경. (2005). 외국의 저출산 대응정책 사례. 국회도서관보, 12(12), 통권320호, 13-24
  85. 정구진. (2006). 저출산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6. 정미라, 장영희. (2006). 대학생들의 결혼 및 직업관과 자녀관에 대한 인식과 관련 변인 연구. 교육연구, 41, 91-108.
  87. 정설희, 임양금, 안진경. (2009). 유아 미술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1998-2008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97-319.
  88. 정성호. (2009).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32(2), 161-183.
  89. 정세훈. (2007). 출산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관한 분석.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0. 정연숙. (2006).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1. 정윤경. (2007).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 정재수. (2007). 저출산 해소 방안대책: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3. 조성혜. (2007). 독일의 양육관련 법제와 출산장려정책. 한국비교공법학회지, 18(3), 561-592.
  94. 조에스더. (2008).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가치관에 따른 정부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5. 조영자. (2005). 저출산에 대한 사회복지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6. 조윤정. (2006). 여대생의 결혼과 출산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7. 조혜자, 방희정. (2005). 결혼과 출산기피의 한 이유: 여성의 관계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95-112.
  98. 조희정. (2007). 외국정책을 통한 한국의 저출산 대응정책에 관한 기초연구: 스웨덴, 프랑스, 일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9. 채구묵. (2005).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 한국사회복지학, 57(3), 337-361.
  100. 채정기. (2009). 출산장려정책의 인식에 관한 실태분석.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1. 최문숙. (2007).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2. 최종암. (2008). 저출산 고령사회에 있어서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3. 최현수. (2005). 저출산 시대의 여성복지정책의 새로운 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4. 최혜지. (2005).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의 내용과 의미. 월간복지동향, 80, 42-45.
  105. 한선영. (2005).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6. 한준상. (2006). 저출산 예방을 위한 영유아 교육․보육지원개선에 대하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22.
  107. 한태숙, 김연, 황혜정. (2005).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유아교육연구, 25(3), 219-238.
  108. 현봉추. (2008). 저출산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수용 정책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9. 현재은. (2007). 여성의 경제활동이 이상자녀수와 기대 자녀수 간 차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 현정환. (2005). 저출산 시대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욕구. 한국보육학회지, 5(2), 157-170.
  111. 황지영. (2007). 대학생들의 결혼 및 출산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2. 황해범. (2006).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연구.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3. 황혜원. (2004). 영국 프랑스 일본의 출산 경향 분석. 사회과학논총, 26(2), 143-157.
  114. Kuhn, T. (1974). Second thoughts on paradigms': i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ies edited by I. Lakatos & A. Musgrave. (pp. 231-278)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5. 유명무실 '남성 육아휴직' 강제로라도 쓰게 해야. (2010. 2. 23) 매일경제, p. 10
  116. 인구감소 피할 수 없다면. (2010. 3. 4) 한국경제, p. 38
  117. 저출산과 전경련의 책임. (2009. 6. 5). 조선일보, p. A30
  118. 점프코리아 2010-아이 낳고싶은 나라 "현재는 아빠 90% 이상 육아휴직 신청". (2010. 2. 18). 서울신문, p. 16.
  119. '2009년 출생통계 잠정결과'.(2010. 2. 24). 통계청, 자료검색일 2010. 6. 8. 자료출처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aSeq=69802&bmode=read&rowNum=10

Cited by

  1. Understanding expected number of children of childless married and single men and women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51
  2.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vol.25, pp.3,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3.579
  3. Construction of Thoughts and Roles of Parents with Multiple Children vol.33, pp.4, 201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