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levation and Facade Design Factors of European Multistory-Housing

유럽 집합주택의 입면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사례를 중심으로 -

  • 김준래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학) ;
  • 전남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주거학)
  • Received : 2010.04.16
  • Accepted : 2010.10.12
  • Published : 2010.10.25

Abstract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multistory housing has become the most preferred housing type. Moreover, in multistory housing design, not only interior design but also exterior design, uniqueness and characteristic have been added as significant factors in design to break simplicity and uniform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 elevation design in Europe and to suggest the idea for elevation design for domestic. Also, each elements of elevation were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and schematization which categorized by its own characteristic. Design elemen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y are corresponding with inner spaces, emphasizing visual expression of exterior material and texture, and presenting aesthetic factors of building shape. Those are named as the Spatial Externalization, the Visual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of Building Shape. In this frame nineteen elevations of sixteen different cases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case studies, it is clear that elevation designs were not standardized and each case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lso it showed how the each design elements can be coordinated as a total design and how they expressed identities of each housing.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motivate diversifying the design of multistory hous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지수 (1991). 고층아파트 주입면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2. 김경현 (2004). 공동주택 입면분석을 통한 입면 디자인 다양 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수원.
  3. 김홍기 (2001). 건축 조형 디자인론. 서울: 기문당.
  4. 문은미 (2004). 디지털시대의 집합주택 내외부 경계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2), 64-71.
  5. 박진영 (2007). 수도권 아파트 주거동 외관분석을 통한 외관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수원.
  6. 백기동 (1989). 우리나라 아파트 외관의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7. 유지상 (1994). 국내아파트 주거동의 형태적 특성에 과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8. 이광영.김정재 (1995). 아파트 외관에 대한 인간의 시지각 차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35-44.
  9. 이남학 (2001). 아파트 외관의 다양화 양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전.
  10. 장서연 (2006). 개방형건축시스템을 활용한 공동주택 주거동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기도.
  11. 전남일 (2008). 집합주택의 개별적 외부공간의 계획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6), 137-148.
  12. 전남일.박혜선.문은미 (2005). 네덜란드의 건축가 네덜란드의 주거, 서울: 발언.
  13. 정청수 (2003). 용도별 현대건축: 현대건축의 디자인 이론과 실천-04. 집합주택, 서울: 황토출판사.
  14. 정희웅 (2002). 도시형 중.저층고밀 집합주택의 외관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15. 차춘호 (1996). 고층아파트 외관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기도.
  16. 최찬수 (2000). 아파트 외관 형태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17. 허병이 (2001). 건축의장론. 경기도: 광문각.
  18. A+U Publishing Co (2002). A+U MVRDV FILES Projects 002-209. Tokyo: A+U Publishing Co.
  19. A+U Publishing Co (2006). A+U Jean Nouvel 1987-2006. Tokyo: A+U Publishing Co.
  20. Fernandez Per, A., Mozas, J., & Arpa, J. (2007). Dbook. Density, Data, Diagram, Dwellings. Madrid: A+T edicione.
  21. Forster, W. (2006). Housing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New York: Prestel Publishing.
  22. Schneider, F. (1997). Floor Plan Atlas-Housing. Freiburg: Birkhouser Verlag.
  23. SMCL (2005). WAWA (World Apartment with Architects). Seoul: Spacetime.
  24. Ravetllat, P.J. (1992). Block Hous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Barcelona: Gustavo Gili.
  25. Valle. & Pietro. (2007). MECANOO-Experimental Pragnatis- Pietro valle. New York: Random House.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