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ertainty Analysis of the Net Flow Discharge and Diffusion Model in Gyeonggi Bay and Han River Estuary

경기만 및 한강하구의 순유량 및 확산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 Kim, Jeong-Dae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 ;
  • Jeong, Shin-Taek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 ;
  • Cho, Hong-Yeon (Korea Ocean R&D Institute) ;
  • Kim, Tae-Heo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
  • 김정대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 김태헌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0.2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Uncertainty analysis on the net flow discharge (NFD) influencing the long-term material transport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stribution using the MIKE21 diffusion model in Gyeonggi bay and Han-River estuary is carried out. The NFD flowing the Gyodongdo - Seokmodo channel via the North channel of Ganghwado is estimated about 97% of the total NFD and the NFD of the Yeomha channel is estimated as only $2.5{\sim}3.0%$. On the other hand, the uncertainty defined as the difference by the different time-scale data input is analysed by the comparison of the model simulation result of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ne is computed based on the daily river flow data, and the other is computed based on the monthlymean river flow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salinity and COD concentration differences are about -10~20 psu and ${\pm}1.0\;mg/L$ during the summer season having a high flow discharge in Yeomha channel,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s clearly negligible in the open sea area.

경기만과 한강하구의 장기적인 물질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순 유량과 MIKE21 확산모형을 이용한 염분 및 COD 농도분포 예측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강 하구 연안의 순 유량은 강화도 북단을 지나 교동도와 석모도를 통과하는 수량이 97%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염하수로를 통과하는 수량은 3% 미만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확산모형을 이용한 염분 및 COD 농도 분포는 일 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를 기준으로 월별 자료를 이용한 예측결과와의 차이, 즉 중요한 입력 자료의 시간간격만의 차이에 의한 계산 결과의 차이로 정의되는 불확실성으로 정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염하수로에서는 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염분농도 차이가 -10~20 psu 정도, COD 농도차이는 ${\pm}1.0\;mg/L$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한강하구에서 외해로 갈수록 그 영향은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대 (2007). 경기만 및 한강하구 연안 생태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2. 김정대, 정신택, 조홍연, 정경태, 고동휘 (2008). 경기만 및 한강하구 연안 물리적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3), 321-331.
  3. 성동권 (2003). 격자자료의 리샘플링에 따른 불확실성 정량화 및 해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4. 이승욱, 김영오, 이동률 (2005). 물수지 분석을 위한 불확실성 정량화,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8권 제4호, pp. 281-292.
  5. 이태규 (1991). 불확실성, 개념의 혼란과 재정립,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부설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론집 제VII권 제1호.
  6. 정참삼, 허준행, 배덕효 (2004). 국내 유역에 대한 GCM 정보의 확률론적 불확실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7권 제2호, pp. 173-184.
  7. Brown, L. C. and Barnwell, Jr. T. O. (1987). The Enhanced Stream Water Quality Models QUAL2E and QUAL2EUNCAS,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thens, Georgia.
  8. Faragher, J. (2004). Probabilistic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Uncertainty and Error i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s, Tech. Report DSTO-TR-1633, DSTO Platforms Sciences Laboratory.
  9. Isukapalli, S. S. (1999). Uncertainty Analysis of Transport-Transformation Models, New Brunswick, New Jersey.
  10. Loucks, D. P. and Beek, E. (2005). Water Resources Systems Planning and Management, UNESCO and WL/Delft Hydraulics.
  11.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NREC) (1975). Flood Studies Report, Vol. 1-5. NERC, London, pp. 1100.
  12. Upmanu Lall, Donald L. Phillips, Kenneth H. Reckhow and Daniel P. Loucks(Chair) (2002). Quantifying and Communicating Model Uncertainty for Decision Making in the Everglades, U. S. Army Corps of Engineers South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West Palm Beach, FL.
  13. Wechsler, S. G. (2000). Effect of DEM Uncertainty on Topographic Parameters, DEM Scale and Terrain Evalu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p. 105-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