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Rhythm of Thriller Movies's Opening Title - Focusing on Identity

스릴러장르 영화 오프닝 시퀀스의 시각적 리듬 - '아이덴티티(Identity)'를 중심으로

  • 신승윤 (부산대학교 영상정보공학과) ;
  • 성봉선 (부산대학교 영상정보공학과) ;
  • 김재호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Received : 2010.01.04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nformation of video can be percieved as the form of visual rhythm through temporal ordering systems. The shot, the base unit of video analysis, affects audience psychologicaliy with various temporal combination. Here, psychological stress and density of the story can be adjusted by the point of view shot of character. Acordingl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hot duration and point of view shot can be useful for visual rhythm research. Identity one of the thriller genre works was selected for analyzing. This works produced by Kyle Cooper, a famous person in the opening sequence field. This works produced by Kyle Cooper, a famous person in the opening sequence field.

영상 정보는 시간적 질서화를 통해 시각적 리듬(Visual Rhythm)으로 느껴질 수 있다. 영상 분석의 기본 단위인 샷은 다양한 시간적 조합을 가지며 관객의 심리적 느낌에 영향을 준다. 여기에 등장인물의 시점샷은 심리적 긴장을 조절하며 스토리의 밀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변에서 샷 지속시간과 시점샷의 상관관계 분석은 시각적 리듬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분석 대상은 스릴러 장르 작품 중 아이덴티티(Identity)를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오프닝 시퀀스 분야의 거장인 카일 쿠퍼(Kyle Cooper)의 작품이다. 이 분석 결과는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영상 언어의 표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Roman Jakobson, Boris Eikhenbaum, Iurii Tynianov, and Iurii Lotman, 영화 형식과 기호, 열린책들, 1995.
  2. Christof Koch, The Quest for Consciousness: A Neurobiological Approach, Roberts & Company Publishers, 2004.
  3.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4. David Bordwell and Kristen Thomson, Film Art, McGraw-Hill Companies, 1996.
  5. Christine E. Nothelfer, Jordan E. DeLong, and James E. Cutting, "Shot Structure in Hollywood Film," Indiana Undergraduate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ol.4, pp.103-114, 2009.
  6. Brett Adams, Chitra Dorai, and Svetha Venkatesh, "Role of Shot Length in Characterizing Tempo and Dramatic Story Sections in Motion Pictures," IEEE Pacific Rim Conference on Multimedia, pp. 54-57, 2000.
  7. 홍미희, "카일쿠퍼의 영화 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몽타주 기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8. 진경아, "카일쿠퍼 오프닝 타이틀에 나타난 공포이미지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1 No.5, 2008.
  9. James W. Kalat and Michelle N. Shiota, Emotion, Wadsworth Publishing, 2006.
  10. Daniel Chandler, Semiotics, Routledge, 2001.
  11. Jurij Lotman, Semiotics of Cinema, Michigan Slavic Contributions, 1976.
  12. Herbert Zettl, Sight, Sound, Motion: Applied Media Aesthetics, Wadsworth Pub Co.,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