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impact on quitting one's first job using the stepwise sequence - based on graduates occupatinal mobility survey

단계별 순서를 응용한 첫 일자리에서의 조기퇴직에 대한 영향력 분석 -2009년 대졸자 이동경로조사로부터

  • 정우호 (단국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이성임 (단국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Received : 2010.09.26
  • Accepted : 2010.11.23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mpact on quitting one's first job based o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given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re are a large number of questionnaires on quitting one's first job and so it is not easy to choose among them. We will investigate model selection criteria and apply the procedure proposed by Shtatland et al. (2003) to identify the final model.

본 연구에서는 2007년 한국고용정보원의 설문조사에 의한 <대졸자 이동경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첫 일자리에서의 조기퇴직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에 의하면 조기퇴직과 관련있는 설문문항의 수가 매우 크므로, 그 중에서 조기퇴직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문항 즉 설명변수들을 선택하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명변수의 수가 클 때 자료 분석에서 가능한 모형 선택의 기준을 고찰하고, Shtatland 등 (2003)에서 제안한 모형 선택의 절차를 응용하여 첫 일자리에서의 조기퇴직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정, 한준태 (2010). 주요 위험요인별 허열성심질환 사망위험도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201-109.
  2. 김정훈 (2010). 대졸자들의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조사 (OES, YP, GOMS) 심포지엄>, 344-354.
  3. 박가열, 임영식 (2007). 학교에서 일터로의 이행 초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6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296-307.
  4. 박천수 (2009). 대학생의 어학연수가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제1회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심포지엄 논문집>, 173-96.
  5. 엄동욱 (2008). 대졸신규대졸취업자의 직장이동과 노동시장 성과: 기업 HRM에 의한 합의를 중심으로. <제1회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심포지엄 논문집>, 한국고용정보원.
  6. 이만기 (2008). 자격취득자의 실태와 자격의 노동시장 효과에 관한 분석. <제1회 대졸 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심포지엄 논문집>, 199-221.
  7. 조대현, 김병수, 석경하, 이종언, 김종성, 김선화 (2009). 화장품구매 자료를 통한 고객 구매형태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615-627.
  8. 조장식 (2010).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729-736.
  9. 지혜영, 조완형 (2009).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품목을 이용한 고객의 예측모델 설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25-37.
  10.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 (1998). , SPSS아카데미, 서울.
  11. Agresti, A. (1996).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2. Akaike, H. (1973). Information theory as an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edited by B. N. Petrov and F. Csaki. Budapest: Akademiai Kiado, 267-81.
  13.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AC, 19, 716-723. https://doi.org/10.1109/TAC.1974.1100705
  14. Hosmer, D. W. and Lemeshow, S. (1989). Applied logistic regression,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5. Konishi, S. and Kitagawa, G. (2008). Information criteria and statistical modelling, Springer-Verlag, New York.
  16. Lee, K. and Koval, J. J. (1997). Determination of the best significance level in forward logistic regressio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Simulations, 26, 559-575. https://doi.org/10.1080/03610919708813397
  17.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https://doi.org/10.1214/aos/1176344136
  18. Shtatland, E. S., Cain E. and Barton, M. B. (2001). The perils of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d how to escape them using information criteria and the Output Delivery System. SUGI'26 Proceedings, Paper 222-26 . Cary, NC: SAS Institute Inc.
  19. Shtatland, E. S., Kleinman, K. and Cain, E. M. (2003). Stepwise methods in using SAS PROC LOGISTIC and SAS ENTERPRISE MINER for prediction. SUGI'28 Proceedings, Paper 258-28 . Cary, NC: SAS Institute Inc.
  20. Steyerberg, E. W., Eijkemans, M. J. C., Harrell Jr, F. E. and Habbema, J. D. F. (2000). Prognostic modeling wi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comparison of selection and estimation methods in small data sets. Statistics in Medicine, 19, 1059-1079. https://doi.org/10.1002/(SICI)1097-0258(20000430)19:8<1059::AID-SIM412>3.0.CO;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