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Learning Towards a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 Subject

수학 교과에서 G러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Wi, Jong-Hyun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Cho, Doo-Young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위정현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
  • 조두영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0.12.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f G learning(online game based learning). G learning has become an effective learning tool for constructivis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paper developed G learning 'SKY math' and applied it to th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the fact has been found that students' attitude and confidence for Math changed positively.

본 논문의 목적은 G러닝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분석이다. 교육에 있어서 화두인 구성주의 학습의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써 온라인 게임 기반의 G러닝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기반의 G러닝 'SKY 수학'을 개발하여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G러닝의 정의적 C영역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G러닝을 통한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태도, 자신감이 상승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G러닝이 효과적인 학습 도구로 활용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경문사, 1995.
  2. Abt, c. c, Games for Learning in Simulation Games in Learning, Sage Publications, pp.53-64, 1968.
  3. 위정현. 오나라. 김양은,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경제 학습 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 학술 지, 5권 4호. pp.13-22, 2005.
  4. 위정현. 원은석, 효과적인 구성주의학습 도구로 써 온라인 게임의 활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 라인 게임 '군주'를 활용한 경영전략 수업의 구 성주의적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6권 4호, pp.25-37, 2006.
  5. 위정현, 온라인 게임 비즈니스 전략, 제우미디어, 2006.
  6. 위정현 편저, 온라인게임 교육과 손잡다, 한경사, 2008.
  7. 위정현, Innovation & Strategy of online games, Imperial College Press(United Kingdom), 2009.
  8. Kafai. Yasmin B, Software by Kids for Kid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39, No. 4, pp.38-39. 1996. https://doi.org/10.1145/227210.227221
  9. Kaden. M, Issues on Comput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 Seefeldt(Ed.),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61-275. Columbus: Merrill, 1999.
  10. Hooper. S,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Based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0, No. 3, pp.21-38. 1992. https://doi.org/10.1007/BF02296840
  11. Sqire. K., Jenkins. H., Hamessing the Power of Games in Education. insight Vol. 3, Vision 1, pp.5-33. 2003.
  12. Hodgson. P, How to Teach in Cyberspace, Techniques, Vol. 74, No. 5, pp.34-36, 1999.
  13. Flottermesch. K, Building Effective Inter- Action in Distance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Educational Technology, May-June, pp. 46-51, 2000.
  14. 김호권, 완전학습 이론의 발전, 서울: 문음사, 1997.
  15. 소금현,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000.
  16. Bloom. B. S,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76.
  17. Schunk. D. H, Self-efficacy and cognitive skill learning, In C. Ames & R. Ames (Eds.), Rea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Vol.3, 1989.
  18. 이민찬. 길양숙,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 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취 집단별 차 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7권 2호, pp.147-158, 1998.
  19. 황혜진, 신항균. 구성주의적 토의식 학습이 수 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5권 11호, pp.59-74. 2008.
  2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 체제 연구(II)-수학과 평가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2..
  21. 이후남, 여가활동으로서의 온라인 게임-게임 태도, 몰입, 자존감의 구조 분석, 미출간 박사 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2006.
  22. 강인애,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 대립에서 대화로, 교육공학연구 13권 1호, pp.3-19,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