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reparing Young Children for Urban Inundation

도시침수 대비 유아 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Received : 2010.09.24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young children's disaster preventing ability, especially preparing urban inund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nine 30-minute sessions. 26 4-year-olds (10 boys and 16 girl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by preschool children's safety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preventing urban inund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for safety knowledge. Experimental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of safety knowledge than control grou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for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Experimental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of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program evaluation revealed that this program was helpful for preparing young children for urban inun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침수에 대비하기 위해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6명의 만 4세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13명의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배정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도시침수 대비 안전지식 검사와 안전문제해결 능력 검사를 사전 및 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안전지식 사후 검사점수는 통제집단 유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문제해결 능력 검사점수 역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시침수 대비 안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재 (2008) 가정과 연계된 교통안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지식과 문제해결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원 (2003) 소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화재안전 의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은복 (2000)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강미 (2003) 산촌지역 유아 안전교육 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동은 (2005) 유아안전교육 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영옥, 홍혜경, 지성애 (1999) 농어촌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7, 115-143.
  8. 김진희 (2004)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유형이 유아의 안전 문제해결 사고능력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학열, 안재현, 차영화, 이정원 (2008) 도시침수 대응 및 복구계획 관련 국내 법.제도.계획 분석, 방재저널, 10(1), 67-74.
  10. 김혜금 (2006) 영유아 부모를 위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희준 (2002) 극놀이를 통한 교통안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문제해결사고와 교통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유미 (2007) 현장학습을 통한 유아의 교통안전교육이 교통안전지식 및 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소방방재청 어린이안전짱사이트 (2008) http://www.nema.go.kr/nema_cms_iba/
  14. 여성가족부 (2007) 표준보육과정, 서울: 여성가족부.
  15. 오정옥 (2008) 유아교육기관의 화재안전교육 실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인숙 (2004) 동화짓기 활동을 통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8) http://www.fema. gov/kids/
  18. Freda, B. (1995) Developing personal safety skills in children.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ing.
  19. Hughes, K. (1992) Food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Missouri Extension University.
  20. Pickle, B. (1989) Increasing safety awareness of preschoolers through a safety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Nova University.
  21. Scott, R.J. (1992)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for preschool-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Alabam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