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lime Change on Spatio-Temporal Behavior of Drought Using SAD Analysis

SAD 해석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Received : 2010.07.29
  • Accepted : 2010.10.2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spatio-temporal behavior of extreme drought events is investigated by comparing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under present and future climate conditions. In our climate-change impact experiments, the future climate is based on two GCMs(CGCM3.1-T63 and CSIRO-MK3.0). As a result, in the case of CGCM3.1-T63 future drought events are similar to the present, but in the case of CSIRO-MK3.0 future drought risk is likely to increase. Such results indicate that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resent water resources supply system is urgent.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및 미래기후에서의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곡선의 비교를 통하여 극한 가뭄사상의 시공간적 거동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래기후는 CGCM3.1-T63과 CSIRO-MK3.0으로부터 획득되었다. 분석 결과 CGCM3.1-T63의 경우에는 미래가뭄이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CSIRO-MK3.0의 경우에는 연강수량 총량의 변화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래가뭄이 현재보다 더 극심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수자원 공급 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가 시급함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 (2007)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7권, 제3B호, pp. 267-276.
  2.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 박석근 (2006)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 측정망 구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6권, 제3B호, pp. 291-300.
  3. 김보경, 김상단, 이재수, 김형수 (2006)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6권, 제1B호, pp. 69-78.
  4. 유철상, 김대하, 김상단 (2006). EOF 해석 및 다변량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농업가뭄 대비능력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9권, 제7호, pp. 617-626.
  5. 윤용남, 김중훈, 유철상, 김상단 (2002) 공간분포된 강우를 사용한 유출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오차가 유출계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5권, 제1호, pp. 1-12.
  6. 장연규, 김상단, 최계운 (2006)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9권, 제8호, pp. 691-702.
  7. Hisdal, H., Tallaksen, L.M. (2003) Estimation of reg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for denmark. Jounal of Hydrology, Vol. 281, No. 3, pp. 230-247. https://doi.org/10.1016/S0022-1694(03)00233-6
  8. Hisdal, H., Stahl, K., Tallaksen, L.M. and Demuth, S. (2001) Have streamflow droughts in Europe become more severe or frequent. Int. J. Climatol., Vol. 21, No. 3 pp. 317-333. https://doi.org/10.1002/joc.619
  9. Houghton J.T., Ding, Y., Griggs, D.J., Noguer, M., van der Linden, P.J. and Xiaosu, D.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944.
  10. Lal, M. and H. Harasawa. (2001)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Asia as Inferredfrom Selected Coupled Atmosphere-ocean Global Climate Models. J. Meteor. Soc. Japan, Vol. 79, No. 1, pp. 219-227. https://doi.org/10.2151/jmsj.79.219
  11. Oliver, J.E. (2005) Encyclopedia of world climatology. Encyclopedia of Earth Sciences Seri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New York, pp. 855.
  12. Svoboda, M.D., LeComte, D., Hayes, M.J., Heim, R., Gleason, K., Angel, J., Rippey, B., Tinker, R., Palecki, M., Stooksbury, D., Miskus, D. and Stevens D. (2002) The drought monitor. Bull. Am. Meteor. Soc., 83, pp. 1181-1190.
  13. Tomozeju, R., Busuioc, A., Marletto, V., Zinoni, F. and Cacciamini C. (2000) Detection of Changes in the Summer Precipitation Time Series of the Region Emilia-Romagna, Italy. Theor. Appl. Climatil., Vol. 67, pp. 193-200. https://doi.org/10.1007/s007040070008
  14.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In: Wilhite D.A. (ed) Drought: a global assessment, Routledge, pp. 3-18.
  15. Yoo, C. and Kim, S. (2004) EOF Analysis of surface soil moisture field variability, Advance in water Resources, Vol. 27, pp. 831- 842.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4.0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