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bility Analysis of the Bank Revetment at Urban Streams in Flood Times

홍수시 도시하천의 호안 안정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김철 (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박남희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0.11.03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Recently, close-to-nature stream improvement works have been carried out in urban streams, where eco-friendly bank revetment methods have been adopted. These bank revetment methods are vulnerable to be damaged or washed away by flood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s which use concrete materials. Damage analysis methods on the urban streams by the floods of severe rain storm are presented. The analysis methods are the graph-using method and the grid method, which are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at Gwangju stream. Damage analysis grid which is intersected velocity grid and material strength grid i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damage survey grid. The biggest damage on the bank revetments have been occurred around the crossing structures. Big damages have also been occurred in the connection of low water revetment and the terrace land, and around the structures in the terrace land of the stream.

최근 도시하천에 자연형 하천공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안 부분은 생태성이 강조된 공법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호안공법들은 과거의 콘크리트 재료에 비해 홍수시 훼손되거나 유실되는 횟수가 늘어나고 있어 시공 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시 도시하천에서 호안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피해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그래프를 이용한 방법과 Grid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광주천의 피해사례를 조사하여 분석방법을 도출하였다. Grid를 이용한 방법 중에서 유속 Grid와 재료강도 Grid를 교집합시킨 피해분석 Grid가 피해결과 Grid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횡단구조물 주위에서 가장 큰 호안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저수호안과 고수부지의 연결부, 고수부지의 시설물 주변에서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2. 건설교통부 (2008) 영산강유역종합치수계획 보고서.
  3. 광주광역시 (2002) 광주천 자연화경 복원사업 실시설계보고서.
  4. 광주광역시 (2004) 광주천(지방1급) 하천정비기본계획(변경).
  5. 김상문, 최흥식(2008) 호안 안정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자원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398-1402.
  6. 김윤환, 박남희, 진영훈, 김철 (2007)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 1007-1014.
  7. 김철, 박남희, 김대영, 김윤환 (2008) 저수호안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안정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105-2110.
  8. 박남희, 김윤환, 진영훈, 김철 (2007)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098-1107.
  9. 박상덕, 최한규, 최종인, 최흥식, 홍종선 (2009) 강원도 하천호안 공법 개선방안,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485-490.
  10. 양전영, 김성율, 김진홍 (2006) 식생활착과 토사유출방지에 관한 식생호안 블럭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006-2009.
  11. 이민호, 최흥식 (2007) 호안블록의 수리적 안정성 실험, 한국수자 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18-1022.
  12. 이성준, 전상미, 김영도, 박재현 (2008) 수리모형을 이용한 고수호안의 안정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684-1688.
  13. 이종필, 박의정, 최경환, 김철 (2008)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867-1873.
  14. 田村正秀, 木下正暢, 浜口憲一郎, 阿部康紀(2003)護岸ブロッ クの形状と抗力.揚力特性について, 第2回 流体力の評価 とその応用に関するシンポジウム, pp. 1-8.
  15. 山本晃一, 林建二郎, 関根正人, 藤田光一, 田村正秀, 西村晋, 浜口憲一郎(2000) 護岸ブロックの抗カ.揚力係数および相 当粗度の計測方法について, 水工学論文集, 第44巻.
  16. Ming-Han Li, Karen E. Eddleman (2002) Biotechnical engineering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ngineering methods, A biotechnical streambank stabilization design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 pp. 225-242.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0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