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래스터 기반의 2차원 홍수범람 모형의 개발

  • 이기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건설방재연구소) ;
  • 이승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정관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9.09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ast researches o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mainly focused on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s based on unstructured mesh networks to improve model performances. However, despite the accurate simulation results, such models are not suitable for real-time flood inundation forecasting due to a huge computational burden in terms of geographic data processing. In addition, even though various types of vector and raster data are available to be compatible with flood inundation models for post-processes such as flood hazard mapping and flood inundation risk analysis, the unstructured mesh-based models are not effective to fully use such information due to data incommensur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inundation model; it guarantees computational efficiency because of direct application of DEM for flood inundation modeling and also has a good compatibility with various types of raster data, compared to a commercial model such as FLUMEN. We applied the model to simulate the BaekSan levee break in the Nam river during a flood period from August 10 to 13, 2002.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surveyed inundation area and were also very similar with results from the FLUMEN. Moreover, the model provided physically-acceptable velocity vectors with respect to inundating and returning flows due to the difference of water level between channel and lowland.

범람해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높은 정확도의 범람해석결과를 얻기 위해 비정방형격자를 이용한 다양한 수치기법들을 제시하고, 고정확도의 해석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실시간 범람해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의 간소화 및 모의 시간 단축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들어 침수지도, 홍수위험 지표 및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기법을 이용한 홍수위험 지도 작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vector 및 raster기반의 정보와의 연계해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정방형격자보다는 정방형격자기반의 홍수범람 해석기법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데이터의 전처리 과정을 간략화하고, 모의수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raster기반의 2차원 홍수범람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의 정확도 및 효율성 평가를 위해 2002년 8월 10일 발생한 백산제 붕괴 홍수범람 모의에 적용하여 실측자료 및 상용 2차원 수치모형인 FLUMEN과의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최대 침수면적은 실제침수흔적도 및 FLUMEN 모의결과와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범람해석모형에 포함된 하도-제내지 연결부 모형에 의해 제방붕괴초기의 하도에서 제내지의 범람유량뿐만 아니라 제방붕괴후기의 제내지에서 하도로의 역유입 현상 역시 상당히 우수하게 모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2) 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II).
  2. 건설교통부 (1993) 낙동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III).
  3. 건설교통부 (2007) 국가하천 배수통문 안전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연구.
  4. 경남발전연구원 (2005) 경남 재난 교육.홍보 활성화 방안.
  5. 낙동강홍수통제소 (2002) 낙동강 홍수예경보(낙동강, 형산강, 태화강).
  6. 한국토양정보시스템 (http://asis.rda.go.kr/).
  7. 김익홍 (2004) 2002년 낙동강 유역 제방 붕괴에 따른 홍수범람 해석, 공학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8. 김훈 (2004) 지역빈도 강우자료와 HEC-RAS를 이용한 농지침수 지역 추정, 공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박재홍, 한건연, 안기홍 (2009) 하천제방붕괴 해석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7, pp. 571-578. https://doi.org/10.3741/JKWRA.2009.42.7.571
  10. 박준로 (2006) 하천범람에 따른 홍수재해 위험도 작성 기법, 공학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1. 배용훈, 고덕구, 조용식 (2005)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8, No.5, pp. 355-364.
  12. 문창건, 박종영, 이정식 (2009)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 범람기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476-1481.
  13. 이종태 (1988) 도시 하천제방의 붕괴와 제내지 침수, 한국수자원학회지, Vol.20, No.3, pp. 227-232.
  14. 이창훈, 이길성 (1989) 댐파괴 모형의 비교평가, 한국수자원학회지 , Vol. 22, No. 3, pp. 323-330.
  15. 조완희, 한건연, 김영주 (2010) GIS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에 서의 건물영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2, pp. 119-132.
  16. 한건연, 이종태 (1989)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예측 모형, 한국수자원학회지, Vol.22, No.2, pp. 223-231.
  17. 한건연, 박재홍 (1995) 도시하천에서의 홍수범람도 작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Vol.28, No.6, pp. 119-131.
  18. 日本土木硏究所 (1996) 氾濫シミュレ一ション.マニュアル(案).
  19. Horritt, M.S. and Bates, P.D. (2001) Predicting floodplain inundation: raster-based modellling versus the finite-element approach, Hydrological Processes, Vol. 15, pp. 825-842. https://doi.org/10.1002/hyp.188
  20. Iwasa, Y. and Inoue, I.K. (1982) Mathematical Simulations of Channel and Overland Flows in View of Flood Disaster Engineering, Natural Disaster Science, Japan Society for Natural Disaster Science, Vol. 4, No. 1, pp. 1-30.
  21. Sato, S., Imamura, F. and Shuto, N. (1989)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ing and Damage to Houses by the Yoshida river due to Typhoon No. 8610, Journal of Natural Disaster Science, Japan Society for Natural Disaster Science, Vol. 11, No. 2, pp. 1-19.
  22. Syme, W.J. and Paudyal, G.N. (1994) Bangladesh flood management model, in: Proc. of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iver Flood Hydraulics, March 22-25, 1994, York, England, pp. 167-176.
  23. Xanthopoulos, T. and Koutitas, C. (1977) Numerical simulation of a two-dimensional flood wave propagation due to dam failure,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14, No. 4, pp. 32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