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글쓰기 발상 시 전문 영역의 지식이 좌측 측두엽의 EEG 알파파 억제에 미치는 영향

Expertise-Related EEG Alpha Deactivation of the Left Temporal Lobe during Creative Writing Improvisation

  • 김순화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송기상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Kim, Soon-Hwa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Song, Ki-Sang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0.01.11
  • 심사 : 2010.08.26
  • 발행 : 2010.09.30

초록

창의성과 지식의 관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인 연구는 크게 긴장적 관점과 토대적 관점의 두 관점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창의적 수행 결과를 토대로 한 창의적 산물 중심의 연구로서 창의적 사고 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뇌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지식과 창의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10명의 컴퓨터 전문가를 선정하여 언어적 창의성 과제인 소설쓰기 과제를 제시 한 후 전문 영역과 비전문 영역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 뇌파(EEG) 알파파의 과제 관련 파워값(Task Related Power, TRP)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기준 상태로 눈 감고 안정 상태, 일반적 사고 과정, 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과정, 비전문 분야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의 EEG를 측정한 후 각각 비교 분석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전문 영역의 창의적 사고 과정 시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주로 측두엽에서 나타났고, 특히 좌측 측두엽에서 뚜렷하게 관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지식이 창의적 사고를 방해할 수 있다는 긴장적 관점을 지지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 과정에 관한 연구를 뇌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knowledge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streams, called tension view and foundation view. However most of the studies in this area have been too much focused on creative products which had a limit in investigating creative processes.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we employed neuro-scientific approaches to investigating EEG (electroencephalogram) activity from professional computer programmers(n=10). Also the EEG alpha TRP (task related power)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procedures including resting conditions with eye closed were followed by ordinary thinking process, creative thinking processes in a professional domain and a nonprofessional domain. As a result of EEG activity analysis, alpha deactivation was observed mainly in temporal lobe, especially in left-temporal lobe during creative thinking process of professional domain. The findings suggest that neuro-scientific approach supports the tension view, suggesting that the knowledge could hinder creativ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