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A. Charnes, W. 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The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2, No.6(1978), pp.429-444.
- 김진현, 유왕근, "보건소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와 정책적 의의," 보건행정학회지, 제9권, 제4권(2001), pp.87-119.
- R. Banker, A. Charnes, and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e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1984), pp.1078-1092.
- 김건위, DEA를 통한 지방행정 정보화(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6).
- 곽영진,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병원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1993). ;
- 신호성 등, 공공보건조직의 효율성 분석 및 운영합리화 방안: 보건소를 중심으로(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 윤경준, "DEA 를 통한 보건소의 효율성 측정," 한국정책학회보, 제5권, 제1호(1996), pp.80-109.
- 윤혜영,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제41권, 제3호(2010), pp.67-84
- D. F. Vitaliano, "Assessing Public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Vol.69, No.1(1999), pp.107-122.
- 곽영진,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평가: 충청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회계연구, 제4권, 제1호 (1999), pp.151-176.
- A. Worthington, "Performance Indicators and Efficiency Measurement in Public Libraries," The Australian Economic Review, Vol.32, No.1(1999), pp.31-42
- C. J. Hammond,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A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UK Public Library Systems," Applied Economics, Vol.34(2002), pp.649-657.
- 김선애,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03), pp.220-239.
- 김선애,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비교분석: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7. 06), pp.237-256.
- 함요상,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전환의 논거: 공공도서관서비스의 공급방식간 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2007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집(2007), pp.369-394.
- 문경주,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부산지역 21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2호(2009), pp.59-92.
- 한국도서관협회, 2007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7). ; 한국도서관협회, 2008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8). ;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9).
- J. A. Fitzsimmons and M. J. Fitzsimmons, Service Man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New York : McGraw-Hill, 1994), pp.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