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stigation of conservation state of two types artificial reef on physical factors, immersed in Gang wo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해양 물리적 영향에 따른 강원도 해역에 시설된 2가지 인공어초의 보존상태 조사

  • 이지현 (동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김완기 (동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안정미 (동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이채성 (동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artificial reefs (ARs) for wildstock enhancement have been a key issue. We surveyed the side scan sonar (SSS), multi beam echo sounder (MBES) and scuba diving surveys confirmed that the ARs stability was age and type-dependent. A case of the stability of 8,438 ARs (60 group ARs) installed at 4 sites (Yangyang, Gangeung, Donghae and Samcheok) along the Gangwon coast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a confirmation amount to 85.4% ARs remained safe, the rest 14.6% being influenced by a physical parameter of the waters. The representative influences by their circumstances were of breakage (6.3%). capsizing (8.3%). A group of a ARs to 61.7% ARs remained safe, the rest 38.3% being influenced by a physical parameter of the waters. The representative influences by their circumstances were of buried.

인공어초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대한 관심은 최근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드 스켄소나와 멀티빔에코사운더, 잠수조사를 통하여 어초의 안정성, 시설년도, 종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조사해역(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에서 총 8,438개(60개의 단위어초군)가 시설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중 85.4%가 안정한 시설 상채를 나타냈으며 나머지 14.6%가 해양의 물리적인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는 파손(6.3%)과 전도(8.3%)현상이 있다. 단위 어초군별로는 61.7%가 안정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38.3%가 해양의 물리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현상은 매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수산부, "21C 해양시대 수산물을 위한 비젼과 대응전략," pp. 35, 1998.
  2. 안영화, 노홍길, 김석종, 정동근, 김문관, "제주도연안 인공어초의 집어효과 향상에 관한 연구 -인공어초의 자원조성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1, pp. 59-68, 1999.
  3. 국립수산진흥원, "한국연안 인공어초의 자원조성효과에 관한 연구," 사업보고 제95호, pp.89, 1992.
  4. 김태헌, "비정상 흐름장의 인공어초 침하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15(2), pp. 33-38, 2001.
  5. C. R. Ryu and H. J. Ki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is of wave forces on artificial reefs," Bull. Kor. Fish. Soc., 27(6), pp. 605-612, 1994.
  6. 류청로, 김현주, "착저식 인공어초에 작용하는 파력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7(5), pp. 605-612, 1994.
  7. 류청로, 장선덕, 임기봉, "인공어초의 규모 및 배치에 관한 연구," 수진연보, 38, pp. 1-24, 1986.
  8. Kimura, H., V. Ingsrisawang and M. Ban, "A study on the local scour of cylinder artificial fish reefs," Fish. Enginner., 31, pp. 33-40, 1994.
  9. J. Q. Kim, N. Mizutani and K. Iwata, "Experimental study on the local scour and embedment of fish reef by wave action in shallow water depth," Proc. ECOSET'95, pp. 168-173, 1995.
  10. V. Ingsrisawang, M. Ban and H. Kimura, "Comparative study on the sinking of artificial reefs by local scour betwee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Fish. Engineer., 32, pp. 95-103, 1995.
  11. 수산청, "해역별(동해,남해) 심해파 추정 보고서," pp. 281, 1988.
  12. 류청로, 김현주, 이한수, 신동일, "생태계 제어시설물의 설계 및 배치 최적화(2) - 흐름장에서의 인공어초 침하 및 매몰 특성," 한수지, 30(1), pp. 139-147, 1997.
  13.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인공어초 시설어장 사후관리 및 효과조사 보고서," pp. 78. 2000.
  14. J. S. Galehouse, "Sedimentation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Carver, R. E. (de.), Wiley-Interscience. pp. 69-74, 1971.
  15. F. L. Ingram, "Sieve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Carver, R.E. (de.), Wiley-Interscience. pp. 69-74, 1971.

Cited by

  1. 침하 저감용 보강재로 보강된 인공어초 설치 지반의 거동 특성 vol.18, pp.1, 2010, https://doi.org/10.12814/jkgss.2019.18.1.001
  2. 정밀 해저지형 자료 기반 동해 북부 연안(강릉 경포) 서식지 해저면 환경 특성 연구 vol.53, pp.6, 2010, https://doi.org/10.9719/eeg.2020.53.6.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