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and Conservation for the Filler of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the West of Gameunsaji Site in Gyeongju

경주 감은사지서삼층석탑 충전제 선정과 보존처리

  • Lee, Tae-Jon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Gal, Seo-Yeon (Gyelim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갈서연 ((재)계림문화재연구원)
  • Received : 2010.08.16
  • Accepted : 2010.11.29
  • Published : 2010.12.20

Abstract

The open pore of stone cultural heritage is not expected to have an effect only by consolidation, and it has a drawback that only the internal wall adheres and gets consolidated due to the incrase of liquidity caused by the low viscosity and difference of materials in the case of filling with high molecules synthetic resins. Therefore, this research selected the effective filler for Three-storied Stone Pagoda at the West of Gameunsaji Site through the verification of filling effects of materials using the information about various fillers based on minerals. As the result of filler experiment, got filled with the combination of KSE 500 STE + KSE Filler A${\cdot}$KSE Filler B that is the same as the Member or has very similar properties.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west stone is $252.6m^2$ and the area where the internal opening has been developed is $17.77m^2$(7.03%) requiring a task that fills the internal($24,885m{\ell}$).

Gameunsaji West Stone Pagoda;Filler;Consolidation;Pore;Injection;Materials; 석조문화재의 내부공극은 강화처리만으로 효과를 보기 어렵고 고분자합성수지를 이용한 충전의 경우 재료적 이질감과 높은 강도, 저점도에 따른 유동성 향상으로 내부벽면만 접착, 강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기질 바탕의 다양한 충전제를 검색하여 충전효과검증을 통해 감은사지삼층석탑 공극부 충전에 효과적인 충전제를 선정,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충전실험 결과 부재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물성을 지닌 KSE 500 STE + KSE Filler A KSE Filler B 조합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서탑 전체표면적은 $252.6m^2$이며 이중 내부공극이 발달한 부분은 $17.77m^2$(7.03%)로 내부를 충전($24,885m{\ell}$)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감은사지삼층석탑 강화처리제 선정 및 신석 제작용 석재연구". p8, (2006).
  2. 이창섭, "화강암질암의 풍화에 따른 광물학적 변화와 공학적 특성변화".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24-27, (2009).
  3.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감은사지서삼층석탑수리 보고서". p269, (2010).
  4. 조연태, 김창석, 강대일, 이명희,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보존처리".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보존, 국립문화재연구소, p11-41, (2001).
  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감은사지삼층석탑 강화처리제 선정 및 신석제작용 석재연구", p143-178, (2006).
  6.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보존 및 평가기술 연구", (2008).
  7. 김사덕, 김순관, 김창석,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석조문화재 에폭시수지 개발 시험연구". 보존과학연구, 20, p139-155, (1999).
  8. 강상용,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를 위한 가압함침 공정과 처리제 개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8, (2008).
  9. 양희제,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훼손도 평가와 보존처리 적용실험".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73-194, (2009).
  10. 김정진, 최승원, 강용수, 원종옥, 김사덕, 장윤득, "비파괴 분석법을 이용한 강화제 처리 전후의 특성 변화 연구".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189-191, (2008).
  11. 김성호, 김준영, 장유진, 강용수, 원종옥, 김사덕, 김정진, "석조 문화재 보존을 위한 강화제 처리 후 암석의 물리적 특성 변화 연구".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108-110, (2009).
  12. Remmers, Technical Information Sheet Article No. 0476, 0709, 0571.
  13. Backbier, L., Rousseau, J., "Analytical Study of salt migration and efflorescence in a mediaeval cathedral". Analytica Chimica Acta, 283, p855-867, (1993). https://doi.org/10.1016/0003-2670(93)85299-Y
  14. 도진영., "석조기념물 흑색표면층에 존재하는 염의 특성 과 기원". 보존과학회지, 15, p15-25, (2003).